[사설] 권역별 감염병전문병원, 정부주도 운영이 마땅

  • 논설실
  • |
  • 입력 2020-04-08   |  발행일 2020-04-08 제27면   |  수정 2020-04-08

보건복지부가 영남권과 중부권역의 권역별 감염병전문병원 구축사업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곳당 약 400억원을 들여 연면적 8천331㎡(2천500평)에 중환자 음압격리병상 6개와 일반 음압격리병상 30개 등을 배치한다고 한다. 정부는 이미 전액 국비 건설을 목표로 설계비를 추경예산에 책정해 놓았다. 공모를 거쳐 입지가 선정되면 약 4년 후에 병원이 개원한다. 호남권역엔 2017년 조선대병원이 선정됐다. 영남권 감염병전문병원의 사업 대상자는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의 상급종합병원과 기타 종합병원들이다. 이들 대형 병원들이 응모해서 선정되면 운영하는 형태다.

정부의 조치는 시의적절하다. 코로나19 사태는 감염병의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보여준다. 수도권과 지방의 의료 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대구가 이 사업 유치에 나선 것은 적절하며, 영남권 감염병전문병원이 대구에 오는 것은 당연하다. 대구는 코로나 사태의 최전선이고, 음압병상을 확보하지 못해 환자들을 전국으로 보내야만 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음압병상 수는 대구(54개)·경북(34개)이 부·울·경(169개)보다 턱없이 적다. 중요한 것은 이번 코로나 전쟁 과정을 통해 대구경북의 의료진과 공무원, 시도민이 감염병 대처 부문에서 전국의 어느 지역보다 풍부한 노하우를 축적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과연 대구의 대형 종합병원들이 이 사업에 응모하느냐다. 일단 별도의 병원 부지를 확보해야 하고, 평상시 적자 운영에 대한 대안을 따져봐야 하기 때문이다. 감염병전문병원으로 선정되면 전체 병상의 20%는 지금과 같은 위기상황에 대비해 대기병상으로 남겨놔야 한다. 권역별 감염병전문병원은 국가안보 차원과 같은 공공적인 성격이 강하다. 평상시의 경제 효과는 미미할 정도다. 비상시에는 대구경북 지역민뿐만 아니라 전 국민이 사용해야 한다. 국가의 중요 기간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건설과 운영은 근본적으로 국가가 책임지는 것이 마땅하다. 적자를 지자체나 병원에 떠넘기는 구조가 되어선 안 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