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칼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가 불러올 위험

  • 박진관
  • |
  • 입력 2020-10-27   |  발행일 2020-10-27 제22면   |  수정 2020-10-27
2022년 해양 방류 시작되면
韓 약 30년 방사능 직접 영향
안전 검증·기준도 존재 않아
먹거리인 수산물 가장 염려
정부 이제라도 대책 세워야
2020102601000785700031631
김대식 열린연구소장
2011년 3월11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지진과 쓰나미로 방사능이 누출되는 큰 사고가 있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이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레벨 7로 발표했는데, 이는 1987년 체르노빌 원전사고와 같은 등급으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큰 사고였다. 9년 전 이 사건이 다시 회자되고 있는 것은 일본 정부가 머지 않은 미래에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온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고 미디어를 통해 알려졌기 때문이다.

오염수는 2011년 사고 후 뜨거워진 원전을 식히기 위해 바닷물을 끌어다 사용하면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당시 원자력 발전소에 전력이 끊어지면서 냉각수 순환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원전이 붕괴되었고, 뜨거워진 원전을 식히는데 사용된 물이 고스란히 방사능 오염수가 되었다. 후쿠시마 원전은 동작을 멈추었지만 여전히 열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이를 식히기 위해 엄청난 양의 냉각수가 매일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지하수가 원전 밑을 지나가면서 오염수가 된다. 이러한 오염수가 작년 말 기준 109만t 저장되었고, 날마다 늘어나고 있다.

오염수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그중 가장 안전한 방법은 방사능 폐기물처럼 안전하게 저장해 오랜 기간 동안 보관한 후 배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공간이라는 물리적인 제한이 있고 큰 경제적 부담이 동반된다. 지금 일본 정부가 고집하는 해양 방류는 처리 방법 중 가장 저렴하고 오염물질을 일본 내에 두지 않아도 된다. 표면적으로는 더 이상에 저장 공간이 없어 방류를 한다고 주장하지만, 그보다는 경제성이 뛰어날 뿐더러 오염물질을 일본 내에 보관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는 해양 방류를 추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21대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이슈화되었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오염수의 72%가 기준치를 넘었고 이 중 6%가 기준치의 100배를 넘었다. 일본은 오염수를 기준치 내로 처리해 방류하겠다고 하지만, 삼중수소의 경우 자연 반감기 외에는 처리 방법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물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검사기준이 없어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에 포함되지 않는다. 안전에 대해 어떠한 검증과 기준도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일본의 방류 결정을 지켜봐야만 하는 현실이, 큰 우려가 따를 수밖에 없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방사능 오염물질이 동해에서 발견되기까지 약 1년이 걸렸다. 2022년부터 방류를 시작하게 되면 짧게는 이듬해부터 방류가 끝나는 약 30년의 세월 동안 우리는 방사능 오염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가장 염려되는 부분은 먹거리다. 우리는 전 세계에서 수산물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 중 하나다. 그래서 일본은 끊임없이 한국의 일본 수산물 수입 규제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자신들의 욕심만을 반영한 너무나도 뻔뻔한 태도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는 일본에서 내정된 일이라 우리가 완전히 막을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 해양 방류가 결정된 뒤 실제 방류까지는 2년의 기간이 필요하고, 20~30년 동안 방류가 이루어진다고 한다. 늦었다고 판단되는 지금이라도 정부는 모든 노력을 기울여 할 수 있는 최선의 대책을 세우길 국민의 한 사람으로 간절히 바란다. 이 일에만큼은 정치인들도 정쟁이 아닌 국민 안전을 위해 판단해주었으면 좋겠다.
김대식 열린연구소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