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무기한 파업을 사흘째 지속하면서 대구의 주력산업인 자동차부품 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내수 출하에 차질이 빚어지거나 해외 수출이 지연됨에 따라 직접적 피해가 속속 늘어나고 있다.
9일 대구의 차 부품기업 A사는 전체 임직원들이 좌불안석이다. 출하 차질로 인해 하루 약 500만원씩 피해를 보고 있다고 했다. 현 상황이 지속되면 이달 말쯤에는 피해규모가 1억원에 달한다며 울상을 지었다. 이 업체 관계자는 "지입차량, 회사차량은 물론 개인차량까지 활용하며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현재로선 역부족"이라며 "이는 신차출고 지연 등 국내 자동차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른 시일 내 정상화가 됐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고 했다.
B업체의 경우 수출품 운송이 지연되면서 2천만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다. 파업이 길어지고 출고기간이 길어지면 생산계획에 차질이 생겨 이달 말쯤엔 5천만~6천만원 이상 피해를 본다고 망연자실했다. C사는 수출이 연기될 것 같아 1억원 정도의 수출물량 선적이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다. 대용량 부품을 취급하는 업체들은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파업이 끝나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어 답답한 심정이다. 정부가 물류대란을 해소할 수 있는 부처를 지정해 물류이동에 도움을 줬으면 한다"고 하소연했다.
이날 차부품 생산 기업 단체인 '한국 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화물연대 총파업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호소문을 통해 "절박한 생존의 상황에 내몰린 부품업계 종사자를 위해서라도 화물연대는 운송중단을 즉각 철회하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말했다.
차부품 기업은 재고를 최소화하는 '적시 생산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공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자동차 생산이 중단되고 이로 인한 연쇄적 피해가 클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 조합 측의 설명이다.
국토교통부는 대체수송차량의 파업기간 중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및 환불카드를 꺼내며 피해 최소화에 나서고 있는 상태다. 대구시도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아직 피해가 크지 않지만 상황이 장기화되면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물류 차질로 지역 업계 피해가 있는지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화물연대가 파업 철회 조건으로 제시한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등과 관련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9일 대구의 차 부품기업 A사는 전체 임직원들이 좌불안석이다. 출하 차질로 인해 하루 약 500만원씩 피해를 보고 있다고 했다. 현 상황이 지속되면 이달 말쯤에는 피해규모가 1억원에 달한다며 울상을 지었다. 이 업체 관계자는 "지입차량, 회사차량은 물론 개인차량까지 활용하며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현재로선 역부족"이라며 "이는 신차출고 지연 등 국내 자동차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른 시일 내 정상화가 됐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고 했다.
B업체의 경우 수출품 운송이 지연되면서 2천만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다. 파업이 길어지고 출고기간이 길어지면 생산계획에 차질이 생겨 이달 말쯤엔 5천만~6천만원 이상 피해를 본다고 망연자실했다. C사는 수출이 연기될 것 같아 1억원 정도의 수출물량 선적이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다. 대용량 부품을 취급하는 업체들은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파업이 끝나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어 답답한 심정이다. 정부가 물류대란을 해소할 수 있는 부처를 지정해 물류이동에 도움을 줬으면 한다"고 하소연했다.
이날 차부품 생산 기업 단체인 '한국 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화물연대 총파업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호소문을 통해 "절박한 생존의 상황에 내몰린 부품업계 종사자를 위해서라도 화물연대는 운송중단을 즉각 철회하길 간곡히 호소한다"고 말했다.
차부품 기업은 재고를 최소화하는 '적시 생산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공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자동차 생산이 중단되고 이로 인한 연쇄적 피해가 클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 조합 측의 설명이다.
국토교통부는 대체수송차량의 파업기간 중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및 환불카드를 꺼내며 피해 최소화에 나서고 있는 상태다. 대구시도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아직 피해가 크지 않지만 상황이 장기화되면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물류 차질로 지역 업계 피해가 있는지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화물연대가 파업 철회 조건으로 제시한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등과 관련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