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와 신세계백화점 대구점 전경. <영남일보 DB> |
대구 지역 상업 부동산의 공실률이 지역별로 차별화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구도심 상권인 동성로의 공실률은 상승하는 반면, 신도심 상권인 동대구역 일대는 유동인구 증가로 공실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22일 발표한 '대구지역 상업용 및 주거용 부동산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동성로 지역의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은 19.8%로, 10% 미만인 대구 내 다른 상권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동성로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11.1%로 다른 상권 대비 다소 낮았으나, 코로나19 이후 상승 속도는 가장 빨랐다.
반면 동대구 상권의 경우, 중대형 상가를 중심으로 공실률의 내림세가 두드러졌다.
2020년 1분기 이후 중대형 상가 공실률을 보면, 동대구 상권은 2.0%포인트 감소한 반면 동성로 상권은 8.2%포인트로 대폭 상승했다.
같은 기간 소규모상가 공실률은 동대구 상권은 1.6%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동성로 상권은 9.0% 포인트 상승해 대구 주요 상권 중 가장 높은 공실률을 기록했다.
수성범어 상권의 경우, 중대형상가 공실률은 10.4% 포인트 감소했고, 소규모 상가는 8.3%포인트 상승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지역 상권 중에는 경북대 북문과 상인월배 지역의 상가 공실률이 높았고, 시지지구와 칠곡지역의 공실률은 낮았다.
김현웅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과장은 "대구 지역 상업용 부동산은 20대를 중심으로 한 인구 감소 지속, 비대면 소비 확대 등으로 당분간 높은 공실률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최근 약세를 보이는 동성로 및 경대 북문 상권은 모두 20대를 주 고객층으로 삼고 있어 지속해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동대구 상권은 공실률이 코로나19 이후 오히려 하락했는데, 이는 동대구역의 유동인구 증가와 신세계백화점의 성장세 등이 맞물려 발생한 효과"라고 분석했다.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