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승대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 |
이런 가운데 2020년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을 추월한 후 지방은 소멸 위기에 처했다. 해오름동맹 도시는 제조업 부진 영향이 겹쳐 인구 감소가 더욱 심각하다. 2015년 195만명에서 2024년 183만명으로 6% 이상 줄었는데 이는 같은 기간 전국 감소율의 10배에 달한다.
지역경제 성장률도 전국 평균에 한참 못 미친다. 더구나 전 세계가 첨단산업으로 전환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석유화학, 자동차, 철강 등 울산과 포항의 주력산업이 중국과 미국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위기의 돌파구가 산업구조 혁신과 신성장산업 육성에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기존 주력산업의 포트폴리오를 고부가가치·친환경으로 첨단화·고도화·디지털화하고 2차전지, 수소, 바이오 등 신성장산업으로 생태계를 재정비해야 한다.
2023년부터 추진해온 '해오름산업벨트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해오름특별법)은 울산과 포항, 경주가 경제동맹을 맺어 산업수도권으로 도약하겠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미래첨단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규제 해소와 국가 지원 등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는 것이 제안 이유이다. 해오름특별법은 2024년 8월 포항과 경주 국회의원 전원이 참여한 가운데 박성민 국회의원의 대표발의로 그 해 11월 국회 행안위 전체회의에 상정됐다. 울산·포항·경주를 '해오름산업벨트'로 정의하고 산업구조 혁신과 첨단산업 육성을 입법 목적으로 하면서 권역 발전계획 수립, 국가 지원과 특례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 중 에너지산업 지원, 개발제한구역 해제, 국가산단 지정, 산업인력 양성, 광역교통망 구축 등은 산업수도권의 지속적 성장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핵심적 사항이다. 해오름특별법은 지역의 산업적·경제적 위기 극복을 넘어 대한민국이 제조강국의 위상을 회복하는 데 절실한 제도적 기반인 만큼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신속한 법제화에 국가적 차원에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울산·포항·경주는 신라문화권으로 1500년 전 서라벌은 인구 100만명의 세계 4대 도시 중 하나였다고 한다. 주민 설문조사에서 51.1%가 '세 도시는 하나의 지역'이라고 답할 정도로 정서적으로도 가깝다.
해오름동맹 결성 후 문화관광 등 다양한 협력 사업을 추진해 왔고 10년 차를 맞은 올해는 해오름동맹광역추진단이 출범해 교류 협력에 더욱 속도가 붙고 있다. 2차전지, 수소, 원자력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도 활발한 산학연 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포스텍과 유니스트 등 세계적 대학이 협력을 강화한다면 시너지 효과는 더욱 클 것이다.
올해는 민선 지방자치 30주년을 맞는 의미 있는 해이다. 지난 10년간 광역행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온 해오름동맹이 특별법 제정을 발판으로 산업문화수도권으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고 국가균형발전과 분권의 새로운 모델로 우뚝 설 것으로 확신한다.
안승대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