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권력 투입' 규탄 집회 잇달아

  • 입력 2013-12-23 00:00  |  수정 2013-12-23 21:43  |  발행일 2013-12-23 제1면

철도파업 보름째인 23일 경찰의 민주노총 공권력 투입을 규탄하는 집회가 서울 중구 민주노총 본부 일대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열렸다.


 민주노총 지도부는 이날 오전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노총 공권력 난입은 절대 용납될 수 없다"며 "조합원의 분노를 담아 박근혜 정권 퇴진을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길 철도노조 정책실장은 "김명환 노조위원장 포함 모든 지도부는 안전하게 피신했으며 앞으로도 계속 활동할 것"이라며 "행동이 제약된 김 위원장을 돕는 역할을 자원하는 간부들이 많아 파업 동력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민주노총 지도부와 산별연대 대표 총 12명이 참석해 28일 예정된 '100만 시민 행동의 날'에 더 많은 국민이 참여해 줄 것을 호소했다.


 민주노총은 이어 오후 3시께 서울 중구 경향신물사 건물 앞에서 총력 결의대회를 열고 28일 총파업과 정권 퇴진 운동에 대한 의지를 재차 다졌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민주노총 확대간부 3천여명(경찰 추산)이 참가했다.


 오후 7시 같은 장소에서는 민주노총·철도노조 조합원, 시민사회단체 회원 100여명이 모여 철도 민영화 저지를 위한 촛불집회를 개최했다.


 민주노총 본부 안팎에서 민주노총에 대한 첫 공권력 투입을 비판하는 각계 시민사회단체들의 기자회견이 이어졌다.


 민주주의 법학연구회,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등 법률가 단체들은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와 경찰청장, 서울지방경찰청장, 남대문경찰서장 등을 상대로 형사 고소와 손해배상 청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 백도명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의장 등 사회 각계인사 40여명도 이날 오전 같은 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날 민주노총 강제 진입을 '침탈'로 규정하고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참여연대, YMCA 등 22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한국여성단체 등 시민단체들도 이날 민주노총 본부 건물 앞에서 민주노총 본부 강제진입을규탄하고 정부에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국제노총·국제운수노련은 이날 성명을 내고 "정부가 민주노총에 대해 수많은 경찰을 배치하고 최루액을 사용하며 많은 사람을 다치게 해 국제노동기준뿐만 아니라 시민권마저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