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스페셜] 체육의 경제학

  • 이창남 손동욱
  • |
  • 입력 2014-12-20   |  발행일 2014-12-20 제1면   |  수정 2014-12-20
空空체육시설…시민들 참여 적은데다 대부분 시설 적자 허덕
20141220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치를 위해 700여억원을 들여 건립한 대구육상진흥센터는 벌써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다. 손동욱기자 dingdong@yeongnam.com

‘체육의 경제학’을 아십니까.

550만 대구·경북 시·도민에게 스포츠가 주는 유무형의 가치와 효과를 수치화한다면 얼마나 될지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나온 통계는 없다. 분명한 것은 지역에 체육이 활성화되면 파생효과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체육이 과거 엘리트 선수만이 향유하는 승부의 세계를 넘어 이제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하나의 ‘문화적 트렌드’가 되면서 더욱 그렇다.

먼저 스포츠 용품을 취급하는 지역 업체는 전례 없는 호황기를 누릴 수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급속도로 확산하는 파크골프만 해도 그렇다. 초창기 수요가 거의 없던 골프채는 가격도 비쌌고 제조 메이커도 몇 곳 되지 않았지만 근래 들어 강변축구장과 금호강 일대에 마련된 파크골프장을 찾는 지역 생활체육인이 급증하면서 가격이 10만원대 후반으로 확 내렸다. 또 대구의 파크골프 인구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실력이 월등한 회원은 이미 대구의 이름을 내걸고 전국대회에 출전하고 있다.

이렇게 수요가 다양하다 보니 국산뿐만 아니라 수입 골프채가 시중에 유통된다. 뿐만 아니라 체육 시설 운영을 통한 수익 개선과 회원 증대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결국 사람과 사람이 모여 함께 스포츠를 즐기는 과정에서 다양한 파급 효과를 낳고 이것이 지역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된다. 체육의 경제학적 효과가 빛을 발하는 것이다.

문제는 체육을 향한 시·도민의 요구를 제대로 수용할 수 있는 공공체육시설이 제대로 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애초 국비와 지방비 매칭 형태로 지어진 공공체육시설은 개인이 운영하는 체육시설과 비교해 30%가량 이용료가 저렴하다. 공공재 성격이 강한 특성상 수익이 우선될 순 없겠지만 독일과 일본 등 선진국은 일찌감치 차별화된 체육시설 운영 전략을 바탕으로 자국민에게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다. 일본의 경우 지역 주민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해 스포츠클럽을 중심으로 수준 높은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실시해 호평을 받고 있다.

 

반면 대구·경북을 비롯해 국내 지자체가 지은 체육시설은 정반대 현상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체육시설은 적자에 허덕이고 있고 참여하는 시민도 적은 편이다. 단체장의 치적을 과시하는 등 정치적인 이유와 필요에 따라 급조된 시설이 적지 않다. 대구시가 ‘육상도시’를 내걸고 완공한 대구스타디움과 육상진흥센터만 해도 벌써부터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리에 투입되는 세금만 연간 수십 억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흑자가 나는 체육시설도 있다. 시생활체육회가 관리하고 있는 성서운동장이 단적인 예다. 이곳은 해마다 2억원 이상의 수익을 낸다. 테니스와 수영장, 축구장, 헬스장을 운영하면서 인근 달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밀착형 홍보와 맞춤형 프로그램을 선보여 호평을 받으면서 회원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시테니스연합회가 위탁 운영 중인 두류테니스장 역시 지역 테니스 동호인을 회원으로 유치하면서 경영수지가 흑자로 전환됐다.

 

서진범 시생활체육회 사업지도부장은 “공공체육시설의 운영 주체가 어떤 마인드를 갖느냐에 따라 경영 성적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면서 “그동안 지자체가 직영한 곳은 인건비가 과다하게 책정되면서 대부분 적자 상태를 면치 못했고, 이는 곧 시민들의 삶을 더욱 옥죄는 족쇄가 돼 왔다”고 말했다.


이창남기자 argus61@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스포츠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