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국건정치칼럼] 10% 국민만 관심갖는 한국당 유산싸움

  • 송국건
  • |
  • 입력 2018-09-17   |  발행일 2018-09-17 제30면   |  수정 2018-09-17
비대위체제 두달 지났지만
두자릿수 유지 벅찬 지지율
가치 재설정만으론 회복불가
당무감사 통한 인적청산이
지금 당에 필요한 최선조치
[송국건정치칼럼] 10% 국민만 관심갖는 한국당 유산싸움

“잘못된 계파논쟁, 진영논리와 싸우다 죽어서 거름이 되면 큰 영광이다. 미래를 위한 가치논쟁과 정책논쟁이 정치의 중심을 이루도록 하는 꿈을 갖고 있다.”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대위원장이 7월17일 취임하면서 한 말이다. 오늘로 꼭 두 달을 맞은 비대위체제에서 한국당은 과연 계파갈등에서 벗어나고, 정책정당으로 거듭났을까. 정치권의 평가는 각자 자의적이니 국민의 생각은 어떤지 살펴보자. ‘한국갤럽’ 조사(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김병준 비대위 출범 시점인 7월 둘째 주 정당 지지율 조사에서 한국당은 10%를 기록했다. 더불어민주당(49%)에 한참 뒤져서 정의당과 공동 2위였다.

두 달 후인 9월 둘째 주 조사에서도 한국당은 11%를 기록, 수치상 별다른 변화가 없다. 대신 2위 자리는 정의당(12%)에 내줬고, 민주당은 여전히 1위지만 지지율은 9%포인트가 떨어진 40%를 기록했다. 한국당이 비대위 활동 이후에도 콘크리트 지지층만으로 구축된 10%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더구나 한국당은 여전히 ‘안방’이라고 생각하는 대구·경북에서도 민심을 되돌리는데 실패했다. 지역 유권자들의 한국당 지지율이 7월 19%에서 9월 22%로 약간 오르긴 했다. 그러나 민주당 지지율이 그 사이 6%포인트 하락(33%→27%)했음을 감안할 때 의미 있는 상승폭은 아니다.

한국당 지지율이 10% 박스권에 갇힌 원인은 당 안팎에서, 그리고 복합적인 곳에서 다양하게 찾을 수 있다. 무엇보다 사회 화두가 한반도 평화와 서민경제(집값 폭등, 일자리, 최저임금제 부작용)란 두 갈래 큰 흐름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한국당은 목소리를 낼 성량이 아직 회복되지 않았다. 한반도 평화는 남북한 당국과 미국 사이에 팽팽한 외교전이 벌어지고, 서민경제는 여권 안에서 갑론을박이 일어난다. 10% 지지율 정당이 끼어들 틈이 없다. 크고 작은 국정과제에서 ‘제1야당 패싱’이 이제 새삼스럽지도 않은 일상이 됐다. 비대위 체제 두 달이 됐음에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비대위는 국민이 눈길을 줄 만한 비상대책을 내놓지 못했음을 인정해야 한다.

김병준 위원장은 지난 두 달이 당의 가치와 좌표를 다시 설정한 기간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문재인정부를 ‘국가주의’로 규정하는 거대담론을 펼치고 분배위주 정책의 한계를 비판하며 한국당의 정체성을 세우는 노력을 나름대로 했다. 미래를 위한 가치논쟁과 정책논쟁을 정치의 중심에 두기 위한 시도였다. 그러나 한국당의 힘이 약해서 김병준만의 몸부림에 그치고 있다. 그렇다면 이 시점에서 후순위로 미뤄놓았던 ‘인적청산’으로 바로 넘어가야 한다. 김 위원장이 취임 때 밝힌 ‘잘못된 계파논쟁, 진영논리와의 싸움’을 위해서도 그렇다.

김 위원장은 “총선이 많이 남아 있어 공천권 행사를 통한 인적청산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거나 “사람 자르는 게 절대 개혁이 아니다”(대구 기자간담회)는 말로 인적청산에 거리를 두고 있다. 그러나 두 달 동안의 당 지지율 정체는 지금 방식으론 안 되니 뭐든지 하라는 국민의 메시지다. 현 시점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박근혜정부 실패, 조기대선과 지방선거 참배, 멀리는 2016년 총선 패배 때 중요한 역할을 했던 사람들을 선별해 국민 눈높이에 맞게 책임을 묻는 일 외엔 찾을 수 없다. 추석 연휴 직후 진행될 당무감사에서 당협위원장(국회의원)의 그동안 정치적 역할과 책임을 엄하게 따져야 한다. 아울러 비대위가 외부기관에 의뢰한 선거참패 원인분석 결과도 인적청산의 잣대가 될 수 있다. 반발이 두려워 슬그머니 넘어가면 내년 초 전당대회도 10% 국민만 관심을 갖는 그들만의 리그가 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