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경북 차부품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하라

  • 뉴미디어부
  • |
  • 입력 2018-11-09   |  발행일 2018-11-09 제23면   |  수정 2018-11-09

국내 완성차업계의 실적 부진이 지역의 주력산업인 자동차부품업계를 강타하고 있다. 차부품업체들은 1차협력사에서 2·3·4차 협력사에 이르기까지 수직적 하도급 구도 속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더 큰 ‘도미노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완성차업계의 매출과 영업이익 급감은 미중 무역갈등, 신흥국 경제난 등 외생적인 요소에다 시장 수요 변화 예측 실패 등 내생적 요인까지 겹쳐 단기간에 해소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한다. 완성차업계의 장기 침체는 부품업계의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마디로 지역 차부품업계가 위기를 맞은 만큼 이의 타개책과 함께 업체 자체의 근본적인 경쟁력 방안 마련도 절실하다.

무엇보다 완성차업체와 부품업체 간 또는 협력사 간 납품과 계약의 불평등 관행이 가장 큰 문제다. 말로는 동반성장을 외치지만 업계 내부에서 저질러지는 갑질이나 납품단가 후려치기는 근절이 되지 않는다. 자율적인 정화가 어렵다면 정부의 개입이 불가피하다.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대구시와 경북도 등 지방정부가 나서야 한다. 자동차부품산업이 섬유를 제치고 지역의 주력산업으로 부상한 지 오래다. 하지만 이들 업체의 교섭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방정부 차원의 대책은 전무하다시피 했다. 자동차부품업체들은 각자도생의 위태위태한 처지에 놓여 왔다.

늦었지만 지방정부가 동반성장위원회나 노사정위원회를 구성하면 어떨까. 완성차업계와 부품업계 사이 먹이사슬 구조는 고질이어서 쉽게 혁파되지 않을 게 틀림없다.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자동차 수요자인 지역민들과 함께 불매운동도 벌일 수 있어야 한다. 자동차부품업계의 자생력과 기술력 확보 대책이 병행되면 더 큰 시너지를 낼 터이다. 대구시는 주력하고 있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사업 육성 못지않게 열악한 2·3차 협력업체들의 자생력과 협상력 확보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기술개발, 시장 개척 등을 통한 국내 대기업 의존도를 낮추라는 주문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기에 더욱 민관의 협업을 요구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역 부품산업의 체질 강화를 공통의 상생 과제로 삼아 장단기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지역의 자동차부품업계가 안고 있는 일반적인 취약성은 이미 드러나 있는 만큼 맞춤한 처방전을 내놓을 수 있다. 문제는 완성차업계의 일방적 납품단가 인하 요구 등의 횡포를 어떻게 방어하며 동반성장의 방안을 모색해낼 수 있을지 특단의 고민이 필요하다.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모든 수단과 방편이 경주돼야 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