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클러스터 7월부터 본격 가동…관련기업·연구기관 집결 시너지효과

  • 최수경
  • |
  • 입력 2019-03-22 07:22  |  수정 2019-03-22 09:30  |  발행일 2019-03-22 제3면
#2.물기술인증원 대구 유치 당위성은
20190322
대구의 국가산업단지에 자리잡은 물산업클러스터 조감도. 오는 7월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대구시 제공>

‘블루골드’ ‘제2의 반도체 신화’로 인식되며 국내 물산업 활성화의 핵심 키를 쥐고 있는 한국물기술인증원(올 상반기 설립 예정)의 대구 유치 당위성에 대한 근거는 차고 넘친다.

가장 강력한 무기는 올 7월부터 본격 가동되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가 대구에 있다는 점이다.

물클러스터는 국내 물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릴 전초기지다. 특히 기술개발-실증-인·검증-제품화-수출로 이어지는 물산업 전(全) 주기에서 핵심 기능을 할 인·검증을 물기술인증원이 맡게 된다. 이 기능이 없으면 물클러스터도 단순 기업집적단지에 머물 수밖에 없다. 여기에 국가 균형발전차원에서 수도권에 집중된 각종 인프라 산업의 지역 분산 측면도 고려될 수 있다.

우선 물기술인증원의 행선지가 물클러스터가 있는 대구가 아닌 인천으로 결정된다면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 바로 중복투자의 위험성에 노출되는 셈이다.


물융합연구동 시험장비 활용 가능해
예산 1천500억 중복투자 막을 수 있어
클러스터 5분 거리에 8개 고속도로망
일각서 제기 접근성 우려 말끔히 해소



물클러스터 내 물융합연구동에 가동될 시험장비(194종 248개)와 물기술인증원의 장비는 대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1천500억원의 예산이 중복 투자된다. 물기업, 실증시설(테스트베드), 연구기관, 수출 지원시설 등 물산업 관련 기관이 대거 집결되는 대구를 놔두고 인천을 택하게 되면 자연히 여론의 질타를 받을 수밖에 없다. 대구시는 현재 국비(196억원 확보)를 받아 기업들의 연구개발에 필요한 시험장비 등 각종 기자재 구입에 착수한 상태다.

물기술인증원이 물클러스터에 위치하게 되면 업무 시너지 효과도 상당하다. 비단 클러스터내 입주기업뿐 아니라 대구국가산업단지, 달성1·2차단지에 물산업과 연계될 수 있는 기업이 대거 포진해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물클러스터 운영기관인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2025년까지 신규 일자리 1만5천개, 글로벌 톱 수준의 신기술 10개 개발, 해외수출 7천억원(누적) 달성을 목표로 내건 상태다. 여기에 더해 대구시는 물기업 50개사와 연구기관 100여개를 클러스터에 입주시킨다는 청사진도 세워놨다. 물클러스터가 대구국가산단 부지에 위치한 점을 감안, 입주 공간 부족시 국가산단부지에 추가로 기업 및 연구소를 유치할 수 있다며 배수의 진을 치고 있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접근성 우려와 관련해선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게 대구시의 생각이다.

물클러스터와 5분거리에 있는 현풍IC를 통해 경부고속도로·중부내륙도로·중앙고속도로·광주~대구고속도로 등 8개 고속도로와 연결돼 있다. 또한 2020년 준공을 목표로 서대구고속철도역사 건립이 진행 중이다. 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대상에 포함된 대구산업선철도(서대구고속철도역~국가산단·2025년 완공목표)가 완공되면 서대구고속철도역에서 물클러스터까지 30분 내 이동이 가능해진다.

국내 물기업의 상당수는 수도권 프리미엄을 고려해 수도권에 밀집돼 있다. 한국상하수도협회의 수도용자재·제품 위생안전인증 및 품질적합인증, 한국정수기공업협동조합의 정수기 품질검사를 맡는 심의위원들의 주거지가 수도권에 많다는 이유로 대구 접근성 문제는 줄곧 대두됐다.

하지만 큰 틀에서 문재인정부가 국가균형발전을 중시하고, 그 일환으로 2차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계획도 추진된다는 점을 대구시는 예의 주시한다. 대구시가 추진 중인 물클러스터 교통접근성 개선책도 이 부분과 맞닿아 있다.

당초 물기술인증원의 대구행은 당연시됐다. 2014년 환경부의 ‘물클러스터 기본계획수립 및 타당성조사 보고서’에도 기술 인검증인프라 구축계획이 선명하게 명시됐다. 하지만 2017년 문 정부가 들어서고 환경부 수뇌부가 교체되면서 ‘대구가 물기술인증원의 행선지가 안될 수 있다’는 이상기류가 조금씩 감지됐다.

환경부 차관이 위원장을 맡은 ‘물기술인증원설립위원회(입지선정위원회)’는 당초 예상과 달리 이달초 뒤늦게 위원 10여명을 위촉했다. 최근엔 산하 공공기관장 선출과 관련한 블랙리스트 의혹까지 불거져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서 환경부 내부가 어수선한 상황이다. 지역사회의 바람대로 물클러스터 준공(6월) 전까지 물기술인증원의 입지선정 작업이 마무리될 수 있을지에 대해 걱정하는 이들이 많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