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부터 지방선거 운동 시작…"관행 벽보·현수막 게시 계속해야 하나"

  • 이자인
  • |
  • 입력 2022-05-16 18:17  |  수정 2022-05-16 20:28  |  발행일 2022-05-17
"차출 공무원 부담…훼손 등 부작용 적지 않아"

수원시.창원시, 공무원 대산 별도 업체 고용

일부선 "어르신 정보 전달 수단도 고려해야"
19일부터 지방선거 운동 시작…관행 벽보·현수막 게시 계속해야 하나
한 시민이 20대 대통령 선거 때 대구 중구의 한 초등학교 담장에 나 붙은 후보들의 벽보를 보고 있다. <영남일보 DB>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공식 선거운동을 앞두고, 수십 년째 관행처럼 이어지고 있는 선거 벽보 및 현수막 홍보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6·1 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19일부터 시작되면, 대구 8개 구·군과 읍·면·동 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는 각 후보자로부터 포스터를 접수 받아 이를 지정 장소에 제시하고, 후보들은 선거 현수막을 직접 제작해 도로변과 교차로 등에 내걸어 자신을 알리는 홍보에 나선다.

하지만 시민들 사이에서는 거의 격년제로 치러지는 선거를 경험하면서 거리 곳곳에 부착되는 선거 벽보와 남발되는 현수막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벽보·현수막으로부터 얻는 정보전달 기능이 약하다는 주장과 함께 도시 미관마저 해친다는 관점이다.

직장인 조모(26·대구 남구)씨는 "최근들어서는 후보자로부터 오는 문자에 첨부된 링크를 통해 공약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벽보나 현수막엔 정책 내용이 없어서 별다른 기능이 없는 데다 벽보가 훼손된 뉴스가 자주 나와 불필요한 피로감만 늘어나고 의미가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선거 벽보의 부착·철거를 대행하는 공무원들 역시 관련 업무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 선거때면 공무원의 30% 정도는 자원 또는 차출돼 낮은 수당을 받고 선거 대행 업무에 나선다.

대구의 한 공무원은 "벽보를 부착할 사유지를 확보하는 것에서부터 설치시간에다, 깨끗하게 떼어내는 데도 실랑이가 잦고 훼손 문제로 민원도 많이 들어온다"며 "선거업무가 과다해 최소한 벽보·공보물 업무라도 덜었으면 한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경남 창원시 등에선 이번 지방선거부터 벽보 업무를 선관위가 업체를 고용해 담당하기로 했다.

환경적 측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선거가 끝나고 폐기되는 현수막 등 선거 쓰레기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돼 '탄소 중립'에 역행한다는 것이다.

물론 일각에선 선거의 시작을 알리고, 디지털 취약계층인 고령층을 위해 선거 벽보·현수막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김모(42·대구 동구)씨는 "어르신들은 선거에서 누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아직도 폴더폰을 쓰는 어르신도 많아 벽보나 현수막이 아예 없애는 건 무리일 것 같다"며 "벽보나 현수막으로 선거를 알게 되는 사람도 있는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 절충안을 찾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자인기자 jainle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자인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