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천500선 붕괴에 환율 1천290원 육박…국내 금융지표 연일 요동

  • 최수경
  • |
  • 입력 2022-06-14 19:42  |  수정 2022-06-15 06:50  |  발행일 2022-06-15

코스피 2천500선 붕괴에 환율 1천290원 육박…국내 금융지표 연일 요동
코스피 2500선 붕괴 '멘붕'// 1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한 여성 딜러가 머리를 감싸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54포인트(0.46%) 떨어진 2,492.97에 거래를 마쳤다.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2.4원 오른 1,286.4원으로, 코스닥은 전장보다 5.19포인트(0.63%) 내린 823.58로 마감했다. 연합뉴스

미국발 물가 충격 여파로 국내 각종 금융 지표들이 연일 요동치고 있다. 급기야 14일엔 코스피 지수의 심리적 저항선이었던 2천500선이 1년 7개월만에 붕괴됐다. 채권시장에선 3년 만기 국고채 금리(3.548%)가 10년 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원·달러 환율은 1,286.4원까지 치솟았다.

   

코스피 2천500선 붕괴에 환율 1천290원 육박…국내 금융지표 연일 요동
1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54포인트(0.46%) 떨어진 2,492.97에 거래를 마쳤다.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2.4원 오른 1,286.4원으로, 코스닥은 전장보다 5.19p(0.63%) 내린 823.58로 마감했다. 연합뉴스

금융시장에서는 14~15일 열리는 6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회의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 연준은 빅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넘어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1.54포인트(0.46%) 떨어진 2,492.97에 장을 마쳤다.


종가기준으로 코스피가 2천500선을 밑돈 것은 2020년 11월 13일(2,493.87)이후 19개월 만이다.


외국인이 2천785억원 어치를 팔아치우면서 빚어진 일이다. 기관과 개인이 각각 1천947억원, 405억원을 사들이며 방어했지만 지수 추락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국내 투자자들은 미 연준 통화정책회의 결과를 예의 주시중이다. 정황상 연준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 카드를 내놓을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지난 10일 발표된 미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대비 무려 8.6%나 상승해 41년여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한 것에 대한 충격이 크기 때문이다.


자이언트 스텝 공포 때문에 국내 국고채 금리도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3.4bp(1bp=0.01%포인트) 오른 연 3.548%에 장을 마쳤다. 2012년 3월 30일(3.55%)이후 10년 2개 월만의 최고치다. 국고채 금리는 일반 기업의 회사채 발행금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금리 부담이 커지면 기업들은 회사채 발행시도를 접거나 발생 시기를 늦출 수 밖에 없어 자금 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국고채 금리 상승은 외국인의 대량매도로도 이어질 수 있다.


기획재정부는 금융·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이번 주로 예정된 국고채 바이백 (조기상환) 규모를 기존 예정된 2조→ 3조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원·달러 환율도 이날 전날 종가보다 2.4원이 오른 달러당 1,286.4원에 거래가 종료됐다. 2020년 3월 19일(1,296.0원)이후 2년 3개월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그나마 코스닥 시장은 800선 사수에 성공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