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고령층이 부족한 생활비를 메우기 위해 상대적으로 이자가 비싼 보험약관대출을 이용하는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사에서 받은 가계대출은 1년 새 10%나 늘었다.
보험약관대출은 보험계약 해지환급금을 담보로 지급되는 대출이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지 않고, 별도 심사 없이 대출받을 수 있어 고령층이 생계형 대출로 애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4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업권별 대출액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만 60세 이상 연령층의 보험사 가계대출 잔액은 11조1천625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0%(1조145억원)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보험사 가계대출 증가율(5.5%)의 2배에 달하는 수치다.
대출 종류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8조7천265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6천451억원(8%) 늘었다. 신용대출 잔액은 17%(1천923억원) 증가한 1조3천256억원이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보험사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율(5.8%)과 신용대출 증가율(2.2%)을 웃도는 수치다.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이처럼 보험사를 통한 가계대출이 증가하는 것은 이른바 '생계형 대출'이라고 불리는 보험약관대출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3월 말 기준으로도 보험사 가계대출은 여전히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3월 말 기준 전체 보험사 가계대출 잔액은 작년 말보다 1.1% 늘어난 66조2천580억원이다. 이 중 60세 이상의 대출 잔액은 11조4천899억원(2.9%↑)이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보험약관대출은 보험계약 해지환급금을 담보로 지급되는 대출이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지 않고, 별도 심사 없이 대출받을 수 있어 고령층이 생계형 대출로 애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4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업권별 대출액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만 60세 이상 연령층의 보험사 가계대출 잔액은 11조1천625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10%(1조145억원)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보험사 가계대출 증가율(5.5%)의 2배에 달하는 수치다.
대출 종류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8조7천265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6천451억원(8%) 늘었다. 신용대출 잔액은 17%(1천923억원) 증가한 1조3천256억원이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보험사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율(5.8%)과 신용대출 증가율(2.2%)을 웃도는 수치다.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이처럼 보험사를 통한 가계대출이 증가하는 것은 이른바 '생계형 대출'이라고 불리는 보험약관대출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3월 말 기준으로도 보험사 가계대출은 여전히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3월 말 기준 전체 보험사 가계대출 잔액은 작년 말보다 1.1% 늘어난 66조2천580억원이다. 이 중 60세 이상의 대출 잔액은 11조4천899억원(2.9%↑)이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