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형 반도체 팹 구축' 非예타사업으로 속도낸다

  • 최수경
  • |
  • 입력 2022-08-10  |  수정 2022-08-10 07:32  |  발행일 2022-08-10 제14면
대기업서 관련 장비 기증 추진

사업비 341억+α 기재부 설득

예타 시간 줄여 국비 반영 총력

대구시가 국비 사업으로 야심 차게 추진 중인 '대구형 반도체 팹 구축' 프로젝트를 비(非)예타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확실하게 방향타를 잡았다. 대기업으로부터 필요한 반도체 장비를 최대한 기증받고, 추가 장비 필요 시 자체 시비를 부담해서라도 예타사업으론 진행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연구개발관련 국비사업은 총사업비가 500억원이 넘으면 정부 예타대상사업에 포함된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는 정부 곳간지기인 '기획재정부'를 적극 설득하는 데 총력을 쏟기로 했다.

9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형 반도체 팹 구축(대구경북과학기술원 내) 사업은 총사업비를 '341억원+알파(장비비)'로 책정한 상태에서 최근 기재부로 넘어갔다.

이에 기재부는 예타대상사업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꼼수를 쓰는 게 아니냐며 의구심을 가졌다. 사업비에 장비구매비는 없이 건축비용(341억원)만 기재했는데 여기에 실제 장비비까지 포함하면 예타대상 기준인 500억원을 넘을 것으로 본 것이다.

이에 시는 필요한 장비 규모가 확실하지 않고, 장비를 실제 구입하더라도 480억~490억원 이내에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 배경에는 정부가 최근 발표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을 염두에 뒀다. 이 전략에 정부가 대학에 반도체 장비를 기증하는 기업에 법인세 공제 혜택을 주는 법 개정을 조만간 추진키로 했기 때문이다. 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등에서 반도체 장비를 기증받을 수 있을 것으로 여기고 있다.

대구형 반도체 팹은 중소기업들이 공용으로 '센서' 관련 반도체 융합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것인데, 정황상 대기업으로부터 기증받은 장비로도 충분히 시설을 운영할 수 있다고 본 것. 시는 장비 기증을 받은 후에도 추가로 장비가 필요하다면 대구경북과학기술원과 협의해 비용을 자체 부담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여하튼 시간이 소요되는 예타만큼은 피하고 보겠다는 의지는 확고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이종화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최근 기재부를 방문해 이 같은 시의 입장을 확실히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구형 반도체 팹 구축사업은 관할 정부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가과학기술심의위원회(올 6월)를 통과해 사업 추진의 당위성은 이미 확보한 상태다. 현재 돈줄을 쥔 기재부가 국비 지원 규모를 놓고 심의 중이다. 이 부시장은 매주 수요일 세종시와 서울을 오가며 이 사업이 비예타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설득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대구시는 내년에 계획대로 설계비(국비) 19억원이 반영되면 2024년 상반기 착공, 2025년 말 준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