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은 올해 매출이 작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매출 전망도 낮아 자칫하면 서민경제가 크게 휘청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2022년 실적 및 2023년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자영업자 68.6%가 올해 매출이 작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답했다. 올해 순익이 지난해에 비해 줄었다는 응답은 69.6%다. 매출 및 순익 평균 감소 폭은 전년 대비 각각 12.5%, 12.4%인 것으로 조사됐다.
자영업자 53.2%는 내년 매출이 올해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으며, 내년 순익 전망은 응답자 54.0%가 올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매출과 순익은 평균적으로 올해보다 각각 3.1%, 3.8%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경영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비용증가 요인으로는 원자재·재료비(22.8%), 인건비(21.5%), 임차료(20.0%), 대출상환 원리금(14.0%), 세금(10.8%), 전기·가스 공공요금(9.2%) 등 순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들은 평균 9천970만원의 대출을 갖고 있다. 대출규모가 1억원 미만이라는 응답자는 72.0%였고, 1억5천만원 이상이 15.8%, 1억~1억5천만원은 12.2%였다.
평균 이자율 수준은 5.9%로 지난해보다 약 2%포인트 상승했다. 응답자의 21.0%는 8% 이상의 고금리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현재의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진다면 자영업자 대출상환 부담은 계속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응답자의 5명 중 3명은 2024년 이후 경기회복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시기별로는 내년 하반기가 31.4%로 가장 많았고 2024년 상반기(22.8%), 2025년 이후(22.2%), 2024년 하반기(14.2%), 내년 상반기(9.4%) 순이었다.
향후 3년 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자영업자도 39.8%에 달했다. 폐업을 고려하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6.4%),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6.1%),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5.1%) 등의 순이다.
내년에 예상되는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임차료 상승 및 각종 세금 부담(23.1%), 고금리 지속·만기도래 등 대출상환 부담(21.2%), 수입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재료 매입비 부담(19.7%) 등을 꼽았다. 정부 지원 정책으로는 저금리 대출 등 자금 지원 확대(20.9%), 소비심리 회복을 위한 소비 촉진 지원(17.8%),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 억제(13.3%)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내년에도 경제위기 여파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힘든 고비를 잘 넘길 수 있도록 자영업자에 대한 세밀한 정책적 지원이 당분간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혁준기자 hyeokjun@yeongnam.com

권혁준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