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금융그룹이 지난해 당기순이익(지배주주 지분) 4천62억원을 달성했다. 주력 계열사인 DGB대구은행의 순이익은 전년보다 늘어난 3천925억원을 기록했다.
DGB금융이 9일 지난해 영업실적을 공시했다.
그룹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1% 감소(DGB생명 보증준비금 관련 회계정책 변경 전 기준)했다. 불확실한 미래 경기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및 취약차주에 대한 대규모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적립한 데 따른 것이다.
대구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18.9% 증가한 3천925억원의 당기 순이익을 냈다.
우량여신 위주의 견조한 성장과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자이익이 크게 증가했고, 판매관리비는 낮은 수준으로 관리된 결과로 DGB금융 측은 전했다.
2020년부터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으로 적립한 만큼 향후 경기가 다소 악화돼도 대손 비용률이 안정적 수준에서 통제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도 은행 이익은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은행 계열사인 DGB캐피탈 역시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선방했다.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77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영업자산이 7.8% 성장하면서 이자이익이 확대됐고, 판관비 및 충당금은 전년과 비교해 오히려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효율적인 경영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DGB금융이 9일 지난해 영업실적을 공시했다.
그룹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1% 감소(DGB생명 보증준비금 관련 회계정책 변경 전 기준)했다. 불확실한 미래 경기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및 취약차주에 대한 대규모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적립한 데 따른 것이다.
대구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18.9% 증가한 3천925억원의 당기 순이익을 냈다.
우량여신 위주의 견조한 성장과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자이익이 크게 증가했고, 판매관리비는 낮은 수준으로 관리된 결과로 DGB금융 측은 전했다.
2020년부터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으로 적립한 만큼 향후 경기가 다소 악화돼도 대손 비용률이 안정적 수준에서 통제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도 은행 이익은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은행 계열사인 DGB캐피탈 역시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선방했다.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77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영업자산이 7.8% 성장하면서 이자이익이 확대됐고, 판관비 및 충당금은 전년과 비교해 오히려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효율적인 경영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