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이 고대하던 신규 국가산업단지를 지정받을 수 있을 지 여부가 오는 15일쯤 판가름난다. 대구는 14년만에 두번째 국가산업단지를, 경북은 한번에 2~3개 국가산단을 거머쥐기 위해 그간 안감힘을 써왔다. 지역 기업인들은 정부가 관리해주는 '첨단기업 집적지'추가 확보라는 낭보를 숨조리며 기다리고 있다.
13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국가산단 신규 후보지 지정을 위한 전문가평가위원회를 연뒤, 오는 15일쯤 산업입지정책심의회를 통해 후보지를 최종 결정한다.
정부에 국가산단 지정 신청을 한 지자체는 19곳에 이른다. 국토부는 이중 10곳 안팎을 지정할 것으로 관측된다.
대구시는 이번에 후보지로 신청한 제2국가산단(330만㎡·달성군 옥포·화원읍 일대 )부지가 정부 선택을 받으면 오는 2026년까지 로봇 및 미래모빌리티 기업들을 집중적으로 입주시킬 예정이다. 이른바 '스마트 모빌리티 산단'으로 특화시키겠다는 것. 이미 지역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진행, 입주관련 협의도 마무리한 상태다.
입지와 관련해선, 지하철과 고속도로 등을 기반으로 상권 형성이 잘돼 있고, 인접도로와 산단 진입도로 등 교통망도 우수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른 지역에 비해 더 빨리 착공하고 준공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2017 대선 공약엔 반영되지 않아 국토부 심사 단계도 넘기 어려웠는데 지난해 대통령 대선땐 공약에 담기 위해 무던히 노력했었다"면서 "부지 변경(농지→산업시설용지)과 그린벨트 해제를 위해 농림부 등과의 협의도 마쳤고 기업들의 투자 의사도 거듭 확인했다"고 말했다.
경북지역의 기대감도 크다. 경북도는 경주·울진·안동 3곳을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로 신청했다.
경주 SMR(소형 모듈 원자로) 산단은 원전산업 수출과 기술 확보에, 울진 원자력수소 산단은 청정수소 생산·저장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안동 바이오생명 산단은 백신 전(全) 주기 지원이 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염두에 뒀다.경북도 관계자는 "후보지 3곳 중 최소 2개 이상이 선정될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면 "올 초 정부가 발표한 정부 주요업무 추진계획에 'SMR, 원자력수소 생산 등 관련 국가산단을 신규 조성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임성수 기자 s018@yeongnam.com
손선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