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부터 퇴직 후 국민연금을 매달 200만원 이상 수령하는 이들이 1만5천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말(5천명)보다 한 달 새 무려 2.8배나 늘었다.
2일 국민연금관리공단이 발표한 '2023년 1월 기준 국민연금 통계' 자료를 보면 올 1월 말 기준으로 월 200만원 이상의 노령연금(10년 이상 가입하면 노후에 수령하는 일반 형태의 국민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1만5천290명에 이른다. 남성이 1만5천77명(98.6%)으로 대부분이다. 여성들은 과거 경제활동에 많이 참여하지 않은 데다 경력 단절도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작년 12월 말 기준으론 200만원 이상 국민연금 수령자가 5천410명에 그쳤었다. 1998년(7.5%)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였던 지난해 물가상승률(5.1%)이 반영된 것과 연관이 깊다. 올해 국민연금 수급액은 이 물가상승률을 반영해서 인상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은 개인연금과 달리 해마다 전년도 물가 변동률을 반영해 연금 지급액을 조정한다.
이는 물가 인상으로 화폐가치가 떨어져 실질 연금액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공적연금 수급자가 적정수준의 연금 급여액을 확보, 안정적인 노후 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는 측면이 있다.
국민연금을 월 200만원 이상 받는 수급자는 해마다 느는 추세다. 1988년 국민연금제도 시행 후 20년 이상 장기 가입해서 노령연금을 타는 사람이 늘고 있고, 물가 인상에 맞춰 기본연금액이 꾸준히 오른 결과로 분석된다. 국내 국민연금 월 200만원 수급자는 국민연금제도 시행 후 30년 만인 2018년 1월에 처음 나왔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2일 국민연금관리공단이 발표한 '2023년 1월 기준 국민연금 통계' 자료를 보면 올 1월 말 기준으로 월 200만원 이상의 노령연금(10년 이상 가입하면 노후에 수령하는 일반 형태의 국민연금)을 받는 수급자는 1만5천290명에 이른다. 남성이 1만5천77명(98.6%)으로 대부분이다. 여성들은 과거 경제활동에 많이 참여하지 않은 데다 경력 단절도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작년 12월 말 기준으론 200만원 이상 국민연금 수령자가 5천410명에 그쳤었다. 1998년(7.5%)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였던 지난해 물가상승률(5.1%)이 반영된 것과 연관이 깊다. 올해 국민연금 수급액은 이 물가상승률을 반영해서 인상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은 개인연금과 달리 해마다 전년도 물가 변동률을 반영해 연금 지급액을 조정한다.
이는 물가 인상으로 화폐가치가 떨어져 실질 연금액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공적연금 수급자가 적정수준의 연금 급여액을 확보, 안정적인 노후 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는 측면이 있다.
국민연금을 월 200만원 이상 받는 수급자는 해마다 느는 추세다. 1988년 국민연금제도 시행 후 20년 이상 장기 가입해서 노령연금을 타는 사람이 늘고 있고, 물가 인상에 맞춰 기본연금액이 꾸준히 오른 결과로 분석된다. 국내 국민연금 월 200만원 수급자는 국민연금제도 시행 후 30년 만인 2018년 1월에 처음 나왔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