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 취임 1주년인 10일 오전 대구 중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 지역 25개 시민사회단체가 시국선언 공동기자회견을 열었다. |
윤석열 대통령 취임 1주년인 10일 대구지역 시민사회와 노동계, 진보정당 등이 '윤석열 정권 심판' 공동 시국선언을 했다.
민주노총 대구본부 등 25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대구지역 시국회의(가칭)'는 이날 오전 10시 30분 대구 중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 시국선언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정부의 지난 1년 국정을 '민생파탄, 민주실종, 평화 위기, 굴욕외교'로 규정하고 퇴진을 요구했다.
이날 현장 발언에서 김승무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대표는 "윤석열 정권 1년 동안 헌법적 가치인 민주공화국은 사라지고 급격하게 검찰 공화국으로 탈바꿈 중이다"며 "갈등을 조정하고 중재해야 할 대통령이 도리어 갈등을 조장하고 증폭하고 있으며, 그것을 이용해 정치혐오가 갈수록 극심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 공동 단체는 시국선언 공동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번 정권은 줄곧 공정과 민생회복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 재벌과 대기업, 다주택자 등 고소득자들에게 혜택이 집중된 정책을 펼쳐오고 있다"며 "재벌 특혜와 부자 감세가 앞으로도 이어진다면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 |
손광락 대구경북전문직단체협의회 대표가 정권 규탄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
이어 단체는 현 정부의 외교 정책을 '친일 굴종 외교, 대미 종속외교'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전쟁범죄에 책임과 사죄조차 없는 일본에 굴욕적인 강제동원 문제의 해법을 제시하고 피해자의 인권을 무시한 채 대법원의 판결마저 부정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시국선언에는 지역의 노동, 여성, 장애인, 시민단체, 전문직단체협의회 등 다양한 분야의 단체가 동참했으며 정의·진보·녹색당 진보 3당 대구시당 관계자들이 시국선언문을 낭독했다. 대구에서 진보 진영의 시민단체와 노동계 등이 공동으로 대규모 시국선언을 한 것은 지난 2016년 국정농단 탄핵 국면 이후 7년 만이다.
이들은 이날 오후 7시 동성로 CGV 대구한일점 앞에선 대구·경북 시국 공동행동 집회도 개최했다. 다음 달에는 지역 진보진영이 참여하는 정권 퇴진 민중대회도 열 예정이다.
글·사진=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