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10월 5일 트윈데믹에 대비해 대구 북구의 M아동병원에서 독감 백신을 맞는 아동의 모습. 영남일보DB |
코로나19 엔데믹으로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되면서 환절기 아동 감기 환자가 폭증하고 있다. 대구지역의 소아과 병·의원의 접수 창구는 마치 '전쟁터'를 방불케 할 정도로 예약이 밀리고 있다.
17일 오전 대구 북구의 한 아동 병원. 평일 낮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수 십명 이상의 부모들이 접수를 기다리고 있었다. 3명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이 병원은 최근 월요일 오전이면 100명 이상 부모들이 병원 앞에서 대기할 정도다. 이른바 '오픈런'이 소아과에도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소아과 대란'은 코로나 영향으로 공급이 줄어든 탓이다. 코로나 확산 후 진료비 하락 등 여파로 소아·청소년을 전문으로 하는 병·의원의 폐업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2021년 의원급 총진료비는 18조7천7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했으나, 소아·청소년과 진료비는 하락했다. 소아·청소년과 의원에 지급된 진료비는 5천134억원으로 전년 대비 1.58% 감소했다. 2011년(6천822억원)에 비해 10년 사이 24.74%나 줄든 것이다. 한 아동병원 관계자는 "코로나 유행 시기를 버티지 못하고 많은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문을 닫았다"고 설명했다.
![]() |
지역 의료계는 지금의 '소아과 대란'은 시간이 지나면 점차 풀리겠지만, 저출산에다 낮은 수가 등으로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부족 현상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준엽 대구시의사회 공보이사는 "소아·청소년과 진료가 위험도가 높고 힘든 일인데 그에 대한 보상이 낮다 보니 꺼리는 추세다"며 "진료 수가 인상은 국민 부담 때문에 정부가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대한청소년과의사회는 지난 3월 저출산과 낮은 수가, 수입 감소 등을 호소하며 집단 폐업을 선언했다. 소아 진료 공백이 사회문제로 떠오르자 보건복지부는 지난 1월 31일 중증, 응급, 분만과 소아까지 필수 의료 지원대책을 내놓았다. △소아암 진료체계 구축 △소아 입원 진료 수가 개선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적자 사후 보상 등이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