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경시의회는 철도 기능을 상실한 문경선 철도의 폐선과 용지 매각을 촉구했다. <문경시의회 제공> |
경북 문경의 산업철도였던 문경선 철도가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데도 그대로 방치해 지역발전의 걸림돌이 된다며 문경시의회가 폐선과 용지 매각을 요구했다.
문경시의회는 지난 13일 제268회 임시회에서 문경역과 점촌역을 잇는 문경선 철도의 즉각적인 폐선과 용지를 문경시에 매각하라고 촉구하는 건의안을 채택했다.
![]() |
문경선 철도 종점인 문경역은 한때 철로자전거 시설로 쓰였다. <영남일보DB> |
김경환 시의원의 대표 발의로 이뤄진 이 건의안은 "한국철도공사의 지선 철도 노선인 문경선은 석탄 산업 사양화로 1993년 이후 열차 운행이 중단됐고 선로에 여러 가지 시설물이 들어서 철도의 기능을 잃었다. 곳곳에 방치된 철도 용지는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지역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전락했다"라고 철도의 기능 상실과 지역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회는 이어 "문경시가 관광·체육 인프라 구축과 철로 인근 지역 주민들의 불편 해소를 위해 문경선 철도 구간의 폐선과 마을 입구 앞 성토 구간을 철거해 달라고 국가철도공단에 여러 차례 요청을 했지만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 |
문경선 철도의 중간역인 주평역 모습. <영남일보DB> |
철도 유휴부지를 매각하지 않는 바람에 문경역, 불정역, 진남역사와 인근 부지를 빌려 철로 자전거를 운영하는 문경시는 국가철도공단에 매년 재산 가액의 5%를 부지 사용료로 내 2013년부터 지금까지 11억 6천600만 원을 지급했다.
문경시의회는 운영을 중단한 문경선 철도 용지에 대해 국토교통부, 한국철도공사와 국가철도공단에서 적극적으로 폐선 절차를 이행하고 문경시가 적극적으로 부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문경시에 철도 용지를 매각해 줄 것을 촉구했다.
남정현기자 namun@yeongnam.com

남정현
문경을 가장 잘 아는 기자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