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경 김룡사 사천왕도 중 동방지국천왕. <문경시 제공> |
![]() |
문경 김룡사 사천왕도 중 남방증장천왕. <문경시 제공> |
![]() |
문경 김룡사 사천왕도 중 서방광목천왕. <문경시 제공> |
![]() |
문경 김룡사 사천왕도 중 북방다문천왕. <문경시 제공> |
경북 문경시 김룡사의 사천왕도(四天王圖)가 경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김룡사 사천왕도는 1880년에 사불산화파 수화승 하은응상이 그린 불화로 제작년도와 제작자가 명확하며 사불산화파의 화풍이 세대를 이어 전승됐음을 보여주는 실질적 자료다. 또 조선 후기 천왕문에 봉안했던 사천왕도는 현재 그 수가 매우 적으며 온전하게 전해지는 예도 많지 않아 김룡사 사천왕도의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김룡사 사천왕도는 1994년 8월 도둑이 대웅전 문을 부수고 도난경보 장치를 고장낸 뒤 훔쳐간 문화재로 사찰과 대한불교조계종의 노력으로 경찰 수사와 재판을 거쳐 2020년 환수했다. 사천왕도는 4폭으로 비단에 채색됐으며 동방지국천왕, 남방증장천왕, 서방광목천왕, 북방다문천왕 등 4개의 그림으로 이뤄졌다. 크기는 세로 268㎝, 가로 157㎝다.
이번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지정으로 김룡사는 보물 2점, 국가 등록문화재 2점 등 총 13점의 문화재를 보유하게 됐다.
남정현기자 namun@yeongnam.com

남정현
문경을 가장 잘 아는 기자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