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태원 참사 1주기를 2주 앞둔 15일 서울 용산 이태원의 참사 골목에 설치된 '10.29 이태원 참사 기억의 길'에서 한 시민이 추모메세지를 붙이고 있다. 연합뉴스 |
참사 이후 각 지자체는 안전관리 조례를 제정하는 한편, 다중밀집 행사를 철저하게 관리·대응하고 있다. 대구시와 각 구·군, 경찰·소방 등도 안전대책 수립 등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각 기관은 '핼러윈 데이'를 앞두고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정부는 19일 오후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핼러윈데이 대비 인파 관리 대책 회의'를 개최한다. 회의에는 서울시, 용산구에 이어 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 등 중앙부처를 비롯해 대구시와 중구도 참석한다.
대구시는 회의 후 9개 구·군, 경찰·소방과 자체적으로 관계기관 회의도 개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구시는 인파 밀집 대비 중점 관리사항과 안전관리계획 수립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재난 및 안전관리 조례를 개정해 주최자가 없는 대규모 행사에도 시장이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대응하도록 했다. 각 구·군은 지역 축제와 행사 등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안전관리계획 수립·심의 횟수, 합동 점검 등을 늘렸다. 행사마다 상황실을 운영하고 안전요원도 배치한다.
대구시 외에 중·수성·달서구가 옥외행사의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경찰도 다중 운집 행사에 대한 점검 등을 통해 사전에 위험성을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한다. 대구경찰청은 전국 최초로 고공 관측 장비(리프트)를 이용한 인파 관리에 나섰다.
하지만 이태원 참사 1주기를 맞았지만, 안전 관련 법·제도가 미비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주최자 없는 지역축제의 안전관리계획을 지자체장이 수립하는 내용 등이 담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안은 지난달 20일에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를 간신히 통과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이태원 참사 이후 다중 밀집 행사 안전 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정부 대책 회의를 통해 올해 핼러윈데이에 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