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충남 서천군 서천읍 서천특화시장 화재 현장에서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함께 현장을 점검한 뒤 떠나며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
한 비대위원장은 23일 서천특화시장 화재 현장에서 윤 대통령과 만났다. 먼저 도착한 한 위원장이 윤 대통령을 기다렸고, 이후 만난 두 사람은 함께 화재현장을 둘러봤다. 윤 대통령은 한 위원장과 악수 후 어깨를 툭 치는 등 친근감을 드러냈다. 현장 점검을 마친 두 사람은 대통령 전용열차에 함께 탑승해 서울로 복귀했다. 이날 만남에 대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란 분석이 나온다. 총선이 78일 남은 상황에서 당정 간 갈등이 확산되는 최악의 상황을 막아야 했기 때문이다. 자칫 갈등 국면이 길어지면 여권 전체가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인식을 함께했던 까닭으로 분석된다.
실제 정치권도 이날 오전부터 두 사람의 화해 무드를 예견했다. 한 위원장에게 비판을 쏟아내던 친윤(친윤석열)계가 언급을 자제하기 시작했다. 당 일각에선 관계 복원에 대한 메시지를 내기도 했다. 윤심 메신저를 자처하는 이용 의원은 이날 오전에 예정했던 당 현안 기자회견을 취소했다. 확전을 자제하기 위한 조치로 읽혔다. 친윤 핵심인 이철규 의원도 라디오에서 "아주 긍정적으로 잘 수습되고, 봉합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에서 나오는 메시지도 명확했다. 이날 정치권과 언론 등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김경율 비대위원 공천 논란을 언급하며 우려를 나타냈다. 또 한 위원장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며 사퇴 요구에 대해 무조건 사퇴하라는 뜻이 아니라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상 윤 대통령이 한 위원장과의 갈등설에 대해 봉합성 메시지를 낸 셈이다.
하지만 김 여사 명품백 논란은 여전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일각에선 사건의 시작점인 김경율 비대위원 사퇴 등이 봉합을 위한 아이디어로 제기됐지만, 한 위원장이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윤 대통령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손을 내민 모양새에서 한 위원장이 김 비대위원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 2, 3차 갈등이 재현될 수도 있다. 이날 한 위원장은 서울역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깊은 존중과 신뢰의 마음은 전혀 변함이 없다"면서도 김 비대위원 사퇴에는 "그런 얘기는 서로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