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체육관광부는 1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2024년~2028년도 게임산업 진흥 종합 계획'을 발표했다.
국내 게임 산업은 PC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을 앞세워 2022년 역대 최고 매출인 22조2천억원을 달성했다. 세계 4위 규모의 게임 강국으로 발돋움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국내외 게임업계 성장률이 둔화하기 시작했다. 또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의무화 규제까지 도입되면서 온라인 게임 업계는 저성장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콘솔게임에 투자를 늘리기로 했다. PC온라인·모바일 플랫폼으로 편중된 국내 게임산업 구조를 개편해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계획이다. 콘솔게임은 세계 시장에서 모바일(44%) 다음으로 높은 28.4%의 점유율을 차지한다. PC게임(17.5%)의 비중보다는 오히려 10.9%포인트 높다.
특히 북미·유럽 등 선진국에선 이용자 비중이 40%에 달하지만, 한국산 콘솔 게임은 찾아보기 어렵다. 국산 콘솔게임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1.5%에 불과하다.
![]() |
게티이미지뱅크 |
대구 게임업계는 이미 체질 개선에 나선 상태다. 모바일 게임 개발에 편중됐던 지역 업계는 최근 PC·콘솔 게임 개발 쪽으로 시선을 돌렸다.
지역업체 '부싯돌'은 '빌리언마블' 게임의 플랫폼을 기존 PC에서 TV(이동식 휴대용 TV)로 확대했고, 일부 모바일 게임사는 세계 최대 규모 게임 클라이언트 '스팀'에 게임을 론칭했다.
이재광 DIP 콘텐츠진흥본부장은 "문체부가 지역특화사업을 계획 중인데, 대구는 특화산업으로 게임을 택했다"며 "기존 모바일 게임에 편중됐던 지역 게임산업을 PC·콘솔·웹 등으로 다변화하고 중형 규모의 게임 개발을 지원하는 계획을 제안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