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 전경. 케이메디허브 제공 |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연구와 개발을 지원한다.
7일 케이메디허브에 따르면 재단은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 조절능력 측정 기술서비스를 신규 지원하고, 신약개발 서비스 범위를 확장한다.
알츠하이머병은 환자의 대뇌 해마 영역에 아밀로이드 단백질 플라크(조각)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것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환자들은 기억장애, 언어장애, 판단력 저하, 감정 기복 및 우울 장애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하지만 그동안 임상적으로 인지 기능 저하 증상 완화 목적의 치료제만 사용돼 왔다. 증상 완화 목적 치료제는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수준에 머무른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최근 들어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표적 항체 치료제가 출시됐다. '레켐비', '도나네맙' 등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는 시장에 활기를 불어 넣고 있다.
이에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신규 기술 서비스로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 조절 능력 측정을 지원 한다고 밝혔다.
관련 기술 서비스를 통해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 원인 규명 △알츠하이머병 발병 기전 연구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케이메디허브는 이 서비스를 통해 국내 제약 기업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이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둔 지금, 노인성 질환 유병률이 매년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며 "치료 기술 연구개발을 적극 지원해 국민의 안녕을 위협하는 노인성 질환을 극복하는 일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