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이용 확산세가 무섭다 . 출시 1년 만에 국민 10명 중 1명 이상이 생성형 AI를 이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4천581명 중 563명(12.3%)이 생성형 AI를 이용해봤다고 답했다.
AI 이용 경험은 단기간에 빠르게 확산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 시점(지난해 11월)에는 오픈 에이아이(Open AI)의 Chat GPT) 등 생성형 AI 서비스가 시장에 출시된지 1년밖에 지나지 않았다.
![]() |
생성형 AI 이용 동기(복수 응답)로는 '정보 검색에 효율적(88.1%)'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이어 '대화 나눌 상대가 필요해서(71.8%)', '일상 업무 지원(70.2%) '등이 뒤를 이었다.
이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높은 지식수준을 요구해 이용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62.3%)△개인정보 유출 우려 (57.3%)△이용하기 복잡할 것 같아서(56.0%)라는 답변이 나왔다.
한편, 포털과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와 관련해선 추천 서비스가 자신에 취향에 잘 맞춰져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각각 68.9%, 71.2%로 높았다. 앞으로도 이용할 의향(포털 68.3%·유튜브 68.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절반가량의 응답자들은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가 가치편향을 유발하거나(포털 49.4%·유튜브 51%),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포털 46.5%·45.5%)가 있다고 답했다.
방통위는 "복잡한 서비스 이용 방법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생성형 AI 이용에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방통위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올 하반기에 '생성형 AI 이용자 보호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면접조사는 지난해 10월 첫째 주부터 12월 첫째 주까지 전국 만 16세 이상 만 69세 이하 가구원 중 스마트폰을 이용하면서 하루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2천777가구(4천581가구원)을 대상으로 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45%포인트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