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노선에 본격 취항한 티웨이항공의 기체 결함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유럽행 항공기가 결함으로 인해 당국으로부터 '운항 정지' 지시를 받았고, 올해 상반기 기체 결함으로 지연·결항된 건수만 315건에 달해서다.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 7월 26일 티웨이항공의 HL8501 항공기(A330-300)에 대해 운항 정지 빛 정비 지시를 내렸다.
특정 항공기에 대한 국토부의 운항 정지 조치는 2018년 이후 처음이다. 국토부는 항공기 유압 계통 결함 해결을 위해 긴급 조치가 필요했다고 했다. 해당 항공기는 정비후 나흘 뒤 운항이 재개됐다.
이 항공기는 지난 6월 '오사카 노선 11시간 지연' 당시에도 투입됐었다. 당시 인천발 자그레브(크로아티아) 노선 항공편에 배정됐다가 기체 결함으로 일본 오사카행 항공기(HL8500)과 맞바꿔 운행했다.
오사카행 항공편에 탑승한 승객들은 유럽연합(EU) 규정에 따른 막대한 지연 배상을 피하려 여객기를 바꿔치기한 게 아니냐며 티웨이항공에 대한 법적 대응에 나선바 있다.
HL8501의 기체 결함은 운항 정지 후에도 이어졌다. 이달 1일에도 기체 결함이 발견돼 일본 후쿠오카발 인천행 출발이 8시간 넘게 지연됐다.
티웨이항공은 지난 8월 초 5건의 항공안전법상 운항·정비 규정 위반과 관련, 총 20억5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이 과징금은 지난해 말부터 올초까지 진행된 항공사 안전 점검 결과에 따른 것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올해 6월까지 티웨이항공의 항공편이 기체 정비 문제로 지연되거나 결항한 사례가 총 993건에 달한다. 올 상반기에만 315건에 달했다. 2020년 33건, 2021년 67건, 2022년 68건이었고, 지난해에는 510건이나 됐다.
이연희 의원은 "대형 항공사를 대신해 유럽에 취항하는 만큼 티웨이항공은 승객들이 안전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쇄신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티웨이항공 관계자는 "더 철저한 안전 운항을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기체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