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클링 전문기업 동민산업협동조합(이하 동민산업)이 친환경 소재 개발 기업으로 도약을 꾀하고 있다. 친환경 재활용 원료 비중을 늘린 다양한 제품을 출시해 기업과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동민산업은 2022년 농촌지역 폐기물 자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원단 'Pebric(페브릭)'을 개발했다. 페브릭은 농업용 비료포대와 곤포사일리지 등 폐비닐을 재활용해 고품질 재생 PE칩으로 재생산·가공한 제품으로 다양한 제품의 원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페브릭은 패턴을 엠보스드(Embossed) 처리해 기존의 재생 플라스틱 원단이 갖고 있던 단점을 보완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경판을 이용해 표면에 질감을 생성, 스크래치와 구김 방지는 물론 디자인적인 차별화도 가능하다.
동민산업은 이를 토대로 고품질 가방을 비롯한 다양한 업사이클링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최근 들어 기업들의 ESG경영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동민산업의 제품이 더욱 각광받고 있다.
실제 동민산업은 최근 이마트와의 계약을 통해 재생 스트레치 필름 공급을 시작하는 등 B2B(기업간 거래) 시장에도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서울시 동작구청에 1천500세트의 재생 제품을 공급하는 등 공공기관과의 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동민산업은 GRS(국제 재활용 표준)에 이어 ISCC(국제 친환경 인증)를 획득해 신뢰성까지 갖췄다.
동민산업 관계자는 "기업들에는 친환경 판촉제품을 제공해 기업의 환경 경영을 지원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농촌 폐비닐 자원의 활용범위를 더욱 넓히고 다양한 친환경 업사이클 제품군을 개발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으로의 진출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동민산업은 2022년 농촌지역 폐기물 자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원단 'Pebric(페브릭)'을 개발했다. 페브릭은 농업용 비료포대와 곤포사일리지 등 폐비닐을 재활용해 고품질 재생 PE칩으로 재생산·가공한 제품으로 다양한 제품의 원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페브릭은 패턴을 엠보스드(Embossed) 처리해 기존의 재생 플라스틱 원단이 갖고 있던 단점을 보완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경판을 이용해 표면에 질감을 생성, 스크래치와 구김 방지는 물론 디자인적인 차별화도 가능하다.
동민산업은 이를 토대로 고품질 가방을 비롯한 다양한 업사이클링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최근 들어 기업들의 ESG경영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동민산업의 제품이 더욱 각광받고 있다.
실제 동민산업은 최근 이마트와의 계약을 통해 재생 스트레치 필름 공급을 시작하는 등 B2B(기업간 거래) 시장에도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서울시 동작구청에 1천500세트의 재생 제품을 공급하는 등 공공기관과의 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동민산업은 GRS(국제 재활용 표준)에 이어 ISCC(국제 친환경 인증)를 획득해 신뢰성까지 갖췄다.
동민산업 관계자는 "기업들에는 친환경 판촉제품을 제공해 기업의 환경 경영을 지원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농촌 폐비닐 자원의 활용범위를 더욱 넓히고 다양한 친환경 업사이클 제품군을 개발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으로의 진출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