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로 'MBK파트너스' 책임론 확산

  • 이남영
  • |
  • 입력 2025-03-05  |  수정 2025-03-05 18:06  |  발행일 2025-03-06 제12면
홈플러스 측 "잘못된 주장" 일축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로 MBK파트너스 책임론 확산
홈플러스가 자금난으로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면서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에 대한 책임론이 확산하고 있다. 사진은 올해 하반기 폐점이 확정된 대구 서구 홈플러스 내당점 전경. 이윤호기자 yoonhohi@yeongnam.com

국내 대형마트 2위 업체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면서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에 대한 책임론이 확산하고 있다. MBK가 10년 전 막대한 자금으로 홈플러스를 인수한 뒤 아무런 자구 노력 없이 불시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는 무책임한 행태를 보였다는 게 그 이유다. 하지만 홈플러스 측은 이 같은 주장에 즉각 반발했다.

5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아시아 최대 사모펀드(PEF) 운용사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MBK는 2015년 컨소시엄을 구성해 7조2천억원에 홈플러스를 사들였다. 홈플러스가 갖고 있던 기존 차입금 1조2천억원을 승계한 것을 제외하면 실제 인수금액은 6조원으로 알려졌다.

기업을 사들일 때 피인수 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돈을 빌려 대금을 충당하는 것은 일반적인 인수 방식으로 통용된다. 하지만 당시 MBK는 전체 인수대금의 절반을 인수금융으로 충당했고, 업계에서는 이 같은 행보가 과도하고 위험 부담이 크다는 시각이 많았다. 결국 금리 상승기에 과도한 차입으로 채무부담이 확대되고, 2020년대 쿠팡과 같은 온라인 쇼핑몰의 급성장까지 겹치면서 지난 4일자로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접수한 것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MBK의 과도한 인수 차입금이 홈플러스 경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에 대한 여파로 홈플러스 1호점(대구점) 등을 포함해 완전히 폐점한 점포만 무려 14개나 된다. 이 때문에 MBK가 회사의 실질적인 성장을 추구하기보다 인수 차입금을 빨리 갚고 매각 처분하는 '엑시트'에만 혈안이 돼 있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줄곧 제기됐다.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개시가 불러온 후폭풍은 크다. 당장 신용평가사들은 홈플러스의 기업어음(CP) 및 단기사채 신용등급을 'A3-'에서 'D'로 급락시켰다. 투기 등급에서도 가장 낮은 등급이다. 또 이날부터 신라면세점과 CJ푸드빌, 에버랜드 등이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 홈플러스 상품권 사용을 전면 중단했다.

홈플러스는 이 같은 비판에 즉각 반발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홈플러스 경영목적을 위해 진행한 자산유동화와 폐점은 급변하는 사업환경 하에서 생존을 담보하고 지속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피치 못할 전략적 선택이었다"며 "점포 수와 고용 유지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왔다. 결코, 점포 매각이 대주주의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바 없다"고 일축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남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