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개인·문중 보관 유물 체계적인 관리대책 세워야

  • 인터넷뉴스팀
  • |
  • 입력 2016-08-27   |  발행일 2016-08-27 제23면   |  수정 2016-08-27

개인이 보관하고 있는 유물과 문화재가 사실상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최근 민족시인 이상화 선생 관련 유물 1만여 점이 도난당한 지 3년 만에 회수된 사건은 개인 소장 유물의 관리 실태가 얼마나 허술한지 단적으로 말해준다. 지역의 역사·문화계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개인이나 문중 등이 보관하고 있는 유물의 도난과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체계화된 관리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안타깝게도 대구지역에서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의 현황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개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물건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운 데다 문화재로 지정되더라도 지자체가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어 관리에 한계가 따른다. 다행히 경북도내 상당수 개인과 종택에서는 한국국학진흥원과 박물관에 위탁보관을 하고 있어 그나마 안심이다. 안동 국학진흥원의 경우 국보 제132호 징비록을 비롯한 지정문화재와 고서, 고문서, 목판 등 모두 43만7천216점을 보관하고 있다. 아직도 유교문화와 독립운동의 심장부인 경북에는 문중이나 개인이 보관하고 있는 유물이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기초조사와 더불어 안전한 박물관 등에 위탁 보관될 수 있도록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개인소장 문화재는 상대적으로 관리가 허술해 도난이나 훼손의 우려가 크다. 이상화 선생의 유품만 보더라도 정리조차 제대로 되지 않은 채 상자에 담겨 창고에 방치되다시피 했다. 문화재나 유물은 일단 도난 당하거나 해외에 밀반출되면 회수하기가 매우 어렵다. 도굴꾼이나 절도범들은 보통 10년간 시장에 내놓지 않는 게 관례다. 꼭꼭 숨겨뒀다가 문화재 절도죄의 공소시효인 10년이 지나야 판매에 나선다. 실제로 1985년 이후 30년간 도난 당한 문화재 2만7천여 점 가운데 회수된 물건은 17%에 불과하다. 공소시효가 아직 끝나지 않은 2008년 이후 도난 문화재는 겨우 7%만 회수됐다. 특히 개인이나 문중·사찰 소유 비지정문화재는 보안 상태도 허술해 무인자동경비·폐쇄회로 TV 등 도난방지 시설도 거의 없다.

문화재는 선조의 삶과 문화가 녹아있는 소중한 유산이다. 한 개인의 소유물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지켜 후세에 물려줄 공동의 자산이다. 특히 지역을 대표하는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유물과 문화유산은 지자체가 나서 전수조사를 하고 체계적인 관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 훼손이 우려되는 유물은 박물관 등 전문기관 위탁을 유도해 과학적인 관리와 더불어 전문가의 연구가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