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가 성장동력인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 시급하다

  • 논설실
  • |
  • 입력 2019-08-23   |  발행일 2019-08-23 제23면   |  수정 2020-09-08

한국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낮은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2016년 기준 OECD 35개국 중 31위로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성별 임금 격차도 OECD 회원국 중 최고로 높다. 20대 후반을 기점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급락한다는 점도 눈에 띈다. 20대 후반 70%가 넘은 경제활동 참가율이 30대 후반에 50%대까지 내려앉는다. 결혼, 출산으로 가사노동, 육아 등을 전담하면서 자연스럽게 경제활동 무대에서 사라지기 때문이다.

대구경북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더욱 저조하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대구지역 20~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1.4%로 7개 광역시 중 6위를 차지, 겨우 꼴찌를 면했다. 경북(49.7%)도 9개 광역도 평균(51.5%)보다 낮았다. 이 조사에서 구직을 포기하거나 퇴직하는 사유에 대한 대구지역 여성의 답변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육아·가사부담’이 68.7%로 전국 평균 66.2%보다 높았다. 가부장적 문화 속에서 남편 도움 없이 전적으로 육아·가사부담을 떠안고 있는 여성이 많다는 방증이다.

보건복지부의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서’에서도 한국 여성의 고달픈 삶은 여실히 드러난다. 자녀 출산과 양육을 위해 여성이 직장을 그만둔 적이 있는 경우는 40.3%인 반면, 남성은 0.3%에 불과했다. 여성이 취업을 중단한 사유는 ‘믿고 맡길 곳이 마땅치 않음’(32.8%)이 가장 높았다.

아이를 맘 놓고 맡길 곳이 없고 출산, 육아로 일과 가정을 병행하기 어려워진 여성들이 어쩔 수 없이 직장을 나오는 것이다. 이른바 경력단절여성이 많아지는 것도 문제지만 아이를 키운 뒤 다시 경제활동을 시작하는 경력단절여성의 비정규직 혹은 저임금 일자리 쏠림 현상도 간과할 문제는 아니다. 이런 문제들이 결국 결혼과 출산 기피의 원인이 된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와 관련한 여러 조사에서 육아 및 아이교육 비용 부담 때문에 출산을 기피한다, 일과 육아 병행이 가능한 환경과 경제적 조건이 충족되어야 결혼과 출산을 하겠다고 응답하는 것을 허투루 들을 일이 아니다.

여성 경제활동 촉진을 통한 성장 동력 확대가 절실하다. 좀더 많은 여성이 직장을 갖고 결혼, 출산 후에도 직장생활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출산휴가, 육아휴직 사용이 어려운 조직문화를 개선하고 가정내 가부장적 문화도 떨쳐내야 한다. 이것이 국가의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을 일궈내는 기반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