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019년 대한민국은 분열과 대립이 지배하는 혼돈의 사회다. 진영갈등뿐 아니라 빈부갈등, 노사갈등, 세대갈등 등 온갖 분열의 기제가 촘촘하게 쌓여 있다. 사회 전 분야에서 내편, 네편이 갈라져 다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실제로 한국인 90%는 대한민국의 사회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지하고 있다.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와 한국리서치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에서 10명 중 9명이 사회갈등이 심각하다고 응답했고, 이 같은 인식은 지난 6년간 별다른 변동이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인들이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는 갈등은 무엇일까.
한국행정연구원의 ‘2018년 사회통합 실태조사’에서는 진보·보수 간의 이념갈등이 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빈부갈등 82%, 노사갈등 76%, 개발과 환경보전 간 갈등 71%, 세대갈등 64%, 종교갈등 59%, 남녀갈등 5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 조사에서 사회갈등의 원인으로는 ‘개인·집단 간 상호이해 부족’을 28%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이해당사자들의 각자 이익 추구’ 25%, ‘빈부격차’ 21%, ‘개인·집단 간 가치관 차이’ 12%, ‘권력집중’ 8%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인들은 자신과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을 이해하려는 생각이 낮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시장조사 및 여론조사업체인 입소스의 2018년 12월 조사에서 ‘의견이 달라도 계속 이해하고 싶다’는 질문에 한국인의 39%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조사대상 27개국의 평균이 50%였으며, 한국은 조사대상 27개국 중 25번째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한국의 사회갈등 수준은 세계적으로도 최상위권에 속한다. 한국행정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사회갈등지수와 갈등관리방안’ 보고서에서 한국의 사회갈등지수는 비교 대상 37개국 중 여섯번째로 높은 32위였다. 잠재된 갈등 요인(35위)과 갈등관리 역량(32위)이 모두 최하위권이었다.
박준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이 보고서에서 “한국의 사회갈등지수(1.02)가 스웨덴 수준(0.21)으로 감소할 경우 한국의 1인당 GDP는 13%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박주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