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통합행보 나서야” “공론화로 공통언어 도출을” “새 가치 창출 과정일 수도”

  • 박주희
  • |
  • 입력 2019-10-11 08:07  |  수정 2019-10-11 08:33  |  발행일 2019-10-11 제4면
대학·시민사회단체 전문가 해법은

우리 사회의 극심한 갈등의 원인은 무엇이며, 이를 헤쳐나갈 방법은 또 무엇일까. 다수의 전문가들은 갈등의 주원인으로 ‘과잉정치’를 지적하면서 공론화, 정치권의 통합 행보 등을 해법으로 제안했다.

김관옥 계명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비대한 권한을 가진 대통령제 하에 승자독식의 권력 구조로 정당은 권력을 가지기 위해 죽기 살기로 싸운다. 이에 더해 공존의 문화가 없는 데다 공천까지 앞두고 있다 보니 대립양상이 더욱 극대화된 형국”이라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그는 “정치권에서 실마리를 풀 수밖에 없다. 정치권에서 민생 해결 등을 통해 서로 협력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그 출발점으로 대통령의 통합 행보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동진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도 “과잉정치가 문제”라면서 “정치에 스캔들만 있고 정책이 실종되고 있다. 약자를 대변하는 활동이 약화되고 있고, 보편적 인권·생태에 대한 관심도 부족하다”면서 “사회문제를 공론화할 장이 필요하다. 상호 간 인정할 부분을 만들어가야 하고, 자기식 해석만이 아니라 공통의 언어를 도출해 개혁의 동력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강금수 대구참여연대 사무처장 역시 “거대 양당의 분할 지배가 주원인이며, 승자독식 사회 시스템도 문제”라면서 “아직 미뤄지고 있는 차별금지법 제정 등을 통해 실질적 다양성을 확보해 극단적 대결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타인과의 다름에 대한 불인정과 관용성 부족이 이같은 사태를 낳았다며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전문가들도 많다.

김규원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우리 사회지도층이 고시나 민주화운동 등으로 인간과 사회, 생명 등 인류보편적 가치에 대한 성찰과 통찰을 할 기회가 많이 주어지지 않았다고 보인다. 승자독식의 구조 속에서 약자에 대한 배려와 헌신, 다름에 대한 합의가 없었다. 사회지도층이 투쟁과 저항에는 노하우가 있는지 모르지만 새로운 세계에 대한 전망과 대안을 제시하는 노하우는 부족하다”면서 “교육을 통한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내면적 성찰과 민주적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승자만이 다 갖는 교육구조가 아니라 루저가 없도록 하는 교육 시스템을 갖출 필요도 있다”고 지적했다.

허창덕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도 “교육의 본질적 목적은 국가공동체 구성원으로 지켜야 할 상식과 규범을 내면화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 자질을 갖췄느냐를 평가하고 격려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얼마나 좋은 고등학교, 대학교를 가느냐에 집중해 있다. 아는 것과 내면화 사이에 갭이 있다 보니 타인과의 갈등·반목이 반복된다”면서 교육의 본질에 대한 국가적 성찰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이어 허 교수는 “앞선 세대의 수고로움에 감사할 줄 모르는 민족은 흥할 수 없다. 과거 역사에 대해 그 시대적 환경·배경·맥락을 무시하고 현재의 잣대로만 평가해서는 안된다. 국가를 위해 헌신한 사람을 영예롭게 해야 한다. 존경받을 만한 원로가 없다고 하는데, ‘꼰대’로 치부하면서 우리가 인정하지 않고 없앤 것은 아닌지 자성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갈등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 의견도 있다. 노진철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갈등 표출은 변화로 봐야 한다. 갈등을 문제시하는 것은 기득권의 논리”라면서 “미투운동의 경우 갈등이 표출되면서 변화를 이끌어냈듯, 갈등 과정에서 자연스레 변화를 이끌어내고 새로운 가치 창출을 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주희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