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22일 원숭이두창 의사환자 2명에 대해 진단검사 결과, 내국인 1명이 양성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확진자가 확인됨에 따라 위기상황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원숭이두창 확진 내국인 환자는 독일에서 인천공항을 통해 21일 오후 4시쯤 귀국했다. 입국 전 6월 18일에 두통 증상을 시작으로, 입국 당시에는 미열(37.0℃), 인후통, 무력증(허약감), 피로 등 전신증상 및 피부병변을 보였다.
입국 후 본인이 질병관리청에 의심 신고하여, 공항 검역소와 중앙역학조사관에 의하여 의사환자로 분류됐으며, 현재 인천의료원(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으로 이송되어 치료 중이다.
질병관리청은 원숭이두창 환자 발생하자 보건복지부장관과 질병관리청장은 위기경보단계 '주의'를 발령했으며, 현재의 대책반을 중앙방역대책본부로 격상해 다부처 협력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국 시·도 및 발생 시·도 내 모든 시·군·구는 지역방역대책반을 설치·운영토록 비상방역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방역당국은 원숭이두창에 대하여 하반기 검역관리지역을 지정하고, 특히 원숭이두창이 빈발하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발열기준 강화 등을 통하여 해외 유입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원숭이두창 조기발견과 지역사회 확산차단을 위해서는 국민과 의료계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원숭이두창 발생국가를 방문 또는 여행하는 국민들에게는 손 씻기, 마스크착용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귀국 후 21일 이내 증상 발생 시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로 상담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A씨와 같은 날인 21일 의심환자로 신고된 외국인 1명은 수두 감염으로 확인됐다. 이 외국인은 19일 증상이 발생한 뒤 20일 항공편으로 국내에 입국했으며 21일 오전 부산 소재 병원(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에 내원해 격리 치료를 받았다.
원숭이두창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이다. 감염되면 발열, 두통, 근육통, 근무력증, 오한, 허약감, 림프절 병증 등을 시작으로 1∼3일 후에 발진 증상을 보인다.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동물→사람, 사람→사람, 감염된 환경→사람 간 접촉을 통해 감염이 가능한데, 주로 유증상 감염환자와의 밀접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호흡기 전파도 가능하나 코로나19처럼 전파력이 높지는 않다.
김기오기자 mvalley@yeongnam.com

김기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