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원점서 다시 시작되나

  • 백종현
  • |
  • 입력 2022-08-09 19:20  |  수정 2022-08-09 19:28  |  발행일 2022-08-10 제3면
1659337181879-6
지난 1일 구미시청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김장호 구미시장이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문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미시 제공>
1659337181879-2
지난 1일 구미시청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김장호 구미시장이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문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구미시 제공>

대구 취수원의 구미(해평취수장) 이전과 관련해 해당 단체장들의 감정 섞인 듯한 공방이 이어지는 등 ‘대구·구미 간 낙동강 물 분쟁'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지난 8일 "대구취수원으로 구미 해평취수장을 공동 사용하자는 데 대해 난색을 보인 구미시장이 좀 괘씸한 생각이 든다"라고 유감을 표명(영남일보 8월9일자 1면 보도)하자 김장호 구미시장이 바로 다음날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을 반대하거나 대구시민에게 낙동강 물 공급에 반대한 사실이 없다"며 맞받아친 것.

김 시장은 9일 보도자료를 통해 "대구·구미시민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지금의 해평취수장을 감천 지류 상류(김천)로 이전하는 것이 현실적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대구 취수원의 구미 이전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부각시키면서도 재논의하거나 상호 협력방안을 추가로 모색해야 한다는 뜻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는 분석이다.

김 시장은 또 "지난 1일 기자간담회에서 물은 우리 모두의 공유자원이고 귀중한 자산으로, 대구·구미 시민 모두가 깨끗한 물을 먹어야 한다는 것에 전적으로 동의한 사실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구 수질 악화 원인이 구미산단에 있고 이는 무방류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전날 홍 시장의 주장에 대해서는 "무방류 시스템 도입을 포함한 낙동강 수질과 수계관리 책임은 환경부가 추진할 사안으로, 구미시는 환경부 법령과 지침을 준수하고 있다"며 정면 반박했다.

최근 환경부가 대구 취수원의 구미 이전을 '협정서'에 따라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는 "지난 4월 국무조정실·환경부·대구시·구미시·한국수자원공사가 '맑은 물 나눔과 상생 발전에 관한 협정'에 합의한 것은 구미시민과 구미시의회 동의 없이 체결돼 형식적 합의에 불과하다"며 "당시 협정서 체결에 서명한 환경부장관, 대구시장, 구미시장은 6·1 지방선거에서 교체돼 (협정의) 실효성을 상실했기 때문에 (현) 구미시장으로서 협정서를 자세히 검토해 봐야 한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김 시장은 "대구·경북은 한 뿌리로 대승적 차원에서 대구시민의 뜻과 바람이 소중하듯 구미시민의 뜻과 바람도 존중받아야 한다"고도 했다. 앞서 김 시장은 지난 1일 구미시청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 협약을 꼼꼼히 살펴보면 '대구시가 일시금으로 100억원 지원' '정부가 낙동강 수계관리기금에서 매년 100억원 지원' 외에 구미 발전에 도움이 되는 내용은 별로 없다"며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은 구미시 현안이 아닌 대구시 문제이고, 구미 이전에 따른 상수원 규제 등 후속 조치는 구미 발전과도 어긋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지난 4월 체결한 '맑은 물 나눔과 상생 발전에 관한 협정서'에는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구미시에 매년 100억원 상생지원금 지원 △구미국가5산단 입주업종 확대 △해평습지를 활용한 지역발전사업 협력 △하수처리장 개선·증설 △대구시는 구미시에 일시금 100억원 지원 △KTX 구미역·공항철도 동구미역 신설에 협력 등의 내용이 들어 있다. 하지만 서명에 참여했던 박재현 수자원공사 사장을 제외한 장세용 구미시장, 권영진 대구시장, 김부겸 국무총리, 한정애 환경부 장관,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은 정권 교체와 6·1 지방선거로 물러났다.

반면 홍준표 대구시장은 6·1 지방선거 과정에서 '맑은 물 하이웨이'를 공약으로 내놨다.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이 아닌 낙동강 최상류 지역인 안동댐·임하댐 1급수를 운문댐으로 끌어와 대구시민의 식수로 사용하는 안이다. 댐과 댐을 연결하는 도수로 건설에는 약 1조4천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했다. 이 같은 상황에도 환경부는 지난 3일 "대구 취수원 상류 이전은 지난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국가사업으로 이미 확정된 사안이다. 구미시(와 대구시)의 입장과 관계 없이 2025년 착공해 2018년 준공을 목표로 절차에 따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미시 안팎에는 홍 시장이 추진하는 ‘안동댐·임하댐 대구취수원 이용’에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구미 시민사회단체 한 관계자는 "대구 취수원의 낙동강 상류 댐 이전의 가장 큰 걸림돌은 환경부다. 지난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이미 국가사업으로 확정된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을 고집하고 있는 환경부를 설득해야 하는 것은 물론 안동댐의 중금속 오염 문제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여기에 대구 취수원 안동댐·임하댐 이전에 필요한 소요 예산 1조4천억원은 취수원 구미 이전 추정 예산 1조원(2015년 5천억원)과 차이가 크다"고도 지적했다.

한편 대구와 구미의 물 분쟁은 200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낙동강 페놀 사고(1991년), 디클로로메탄(1994년), 1·4-다이옥산(2004년) 파동 이후 대구시가 2009년 낙동강 상류 구미지역으로 대구 취수원 이전 방침을 발표하자 구미시가 낙동강 수량 부족을 앞세워 반대하면서 시작됐다. 구미 경제단체 관계자는 "정부와 대구시, 구미시가 한 발씩 물러나 서로 머리를 맞대고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에 대한 상생의 묘안을 찾아야 13년간 노력한 행정력이 헛되지 않게 된다"며 "대구와 구미가 뜻을 합치면 두 도시는 정치·경제·민생에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얻게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백종현기자 baekj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백종현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