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미시청 전경 |
대구·경북 신공항 화물 물류단지 건설로 촉발된 대구시와 구미시의 갈등이 취수원 문제로 확산하고 있다.
경북 구미시는 대구시의 구미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에 무방류 시스템 미도입 시 공장 가동을 막겠다고 한 발표에 대해 8일 "자유시장 경제 체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반헌법적 처사로 대구시의 불법적인 요구에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시는 "대구시는 지난 1991년에 일어난 사건을 30년이 넘은 현재 재차 거론하며 정상적으로 기업활동을 하는 구미산업단지 내 기업을 향해 법적 근거가 없고 실효성도 떨어지는 무방류 시스템 설치를 일방적으로 통보했고, 이를 지키지 않으면 공장 가동까지 막겠다는 막무가내식 입장을 보인다"라고 밝혔다.
이어 "구미산단 모든 기업은 엄격한 법률과 기준에 맞춰 생산활동에 전념하고 있으며, 건전한 산업환경을 바탕으로 지난해 수출액 298억 달러를 올리며 대구·경북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고 앞으로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또 "국가 경제 회복을 위해 기업활동을 저해하는 각종 규제 해소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현시점에서 대구시의 이 같은 기업에 대한 불법적 압박 행위는 대구·경북의 공멸을 초래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지난 5일 홍준표 대구시장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구미공단에 기업 유치를 할 때 업종제한 동의권 행사를 적극적으로 해 구미공단에 공해(유해물질) 유발업체는 전혀 입주치 못하도록 하겠다'라고 밝혔고 다음 날 대구시도 보도자료를 통해 '구미국가산업단지에 유해물질 배출업종의 입주를 막겠다'고 발표했다.
앞서 홍 시장은 지난달 22일 자신의 SNS에 '의성에 (신공항) 물류단지를 하기로 합의해 놨는데, 구미가 물류단지와 구미~군위 간 고속도로를 추진한다'고도 썼다.
한편 윤재호 경북 구미상공회의소 회장은 "구미와 대구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공생관계이자 경제공동체"라며 "대구·경북 신공항이라는 큰 파도가 몰려오고 있는 지금 도로망, 철도망 확충과 시너지 극대화에 머리를 맞대어야 한다"고 지역 경제인들의 우려를 전했다.
박용기기자 ygpark@yeongnam.com

박용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