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고령화에 산업 인력 부족 심화…20년 후 취업자 20% 감소

  • 이지영
  • |
  • 입력 2024-07-18  |  수정 2024-07-18 07:23  |  발행일 2024-07-18 제1면
경북지역 취업자 증가에도 고령화 영향 뚜렷

2043년 경북 60세 이상 인구 비중 절반 이상
2024071701000617600025451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2024071701000617600025452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대구경북지역에 산업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동북통계청은 17일 지역별 고용 조사와 장래 인구 추계를 활용해 '대구경북 취업자 및 산업 인력 현황' 분석자료를 내놨다.


이 자료를 보면 지난해 경북의 15세 이상 인구는 231만6천명으로 10년 전보다 6만명 늘었다. 취업자는 149만2천명으로 10년전보다 7만1천명 증가했다. 연령별 취업자 구성비는 40~59세(43.4%)가 가장 높았다. 이어 60세 이상(33.0%), 15~39세(23.6%) 순이었다. 특히 60세 이상 비중은 10년 전보다 11.8%포인트나 증가했다.


인구 감소탓에 경북의 산업인력 부족은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부족 인원은 2만4천명으로, 10년 전보다 1만명 이상 증가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4.5%), 제조업(3.9%)에서 인력이 부족한 상태다.


20년 뒤인 2043년 경북의 15세 이상 인구는 220만명까지 쪼그라들고, 60세 이상 비중은 56.9%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취업자는 현재보다 17만명 감소한 132만3천명으로 예측됐다.


대구지역 15세 이상 인구는 207만5천명으로 10년 전보다 2천명 감소했지만, 취업자는 123만6천명으로 3만2천명 늘었다. 연령별 취업자 비중은 40~59세(48.3%)가 가장 많았다. 이어 15~39세(30.4%), 60세 이상(21.4%) 순이었다.


특히 6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10년 전보다 9.6%포인트나 늘었다. 반면 15~39세는 같은 기간 5.7%포인트 감소했다. 청년층 인구 감소와 고령화 심화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구의 산업 인력난도 악화되는 추세다. 지난해 부족 인원은 1만5천명으로, 10년 전보다 3천명 늘었다. 산업 인력 부족률은 2.1%였다. 산업별 인력 부족률은 운수 및 창고업(4.8%)이 가장 높았다.


특히 20년 뒤 대구지역 인구는 26만명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체 인구 중 60세 이상 비율은 50.3%될 것으로 추정됐다. 취업자는 현재보다 29만1천명(23.5%)이나 감소한 94만5천명으로 예상됐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지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