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에선 1인당 26마리의 닭을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년만에 두배로 늘어났다.
2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이 1인당 평균 소비한 닭고기는 20마리를 훌쩍 넘는다.
작년 국내 닭 도축 마릿수는 10억1천137만마리다. 이를 인구(5천만명)수로 나눠 단순 계산하면 한 사람당 20마리를 먹은 셈이다.
하지만 닭고기 수입량은 수출량보다 훨씬 많다. 작년 국내 소비량이 78만9천t으로 생산량(60만7천t)을 30% 웃돈 것을 고려해 국내에서 도축한 닭고기와 수입 닭고기를 합치면 1인당 26마리를 먹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작년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을 무게로 따지면 정육(뼈를 제외한 고기) 기준으로 15.7㎏이다.
1970년엔 국내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이 1.4㎏에 불과했다. 이후 2003년엔 7.8㎏로 늘어났다. 지난해 20년 만에 두 배가 된 셈이다.
닭고기를 가장 많이 먹는 시기는 역시나 '복날'이 낀 여름이다. 특히 7월은 도축 마릿수가 1억마리를 웃돌았다. 도축 마릿수가 가장 적은 2월과 비교하면 3천만마리 더 많다.
우리나라의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은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많은 편은 아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닭고기를 중심으로 한 가금류 1인당 소비량을 집계한 자료를 보면, 한국은 올해 소비 추정량이 17.6㎏으로 세계 평균(14.6㎏)보다 많았다. 하지만 1위인 미국(49.3㎏)이나 유럽연합(23.1㎏)에는 한참 못 미쳤다. 한국은 일본(13.4㎏)과 중국(14.1㎏)의 1인당 가금류 소비량보다도 적다. 인도는 2.2㎏에 불과하다. 아시아에서 닭고기를 가장 많이 먹는 나라는 말레이시아(1인당 가금류 소비량 47.4㎏)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2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이 1인당 평균 소비한 닭고기는 20마리를 훌쩍 넘는다.
작년 국내 닭 도축 마릿수는 10억1천137만마리다. 이를 인구(5천만명)수로 나눠 단순 계산하면 한 사람당 20마리를 먹은 셈이다.
하지만 닭고기 수입량은 수출량보다 훨씬 많다. 작년 국내 소비량이 78만9천t으로 생산량(60만7천t)을 30% 웃돈 것을 고려해 국내에서 도축한 닭고기와 수입 닭고기를 합치면 1인당 26마리를 먹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작년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을 무게로 따지면 정육(뼈를 제외한 고기) 기준으로 15.7㎏이다.
1970년엔 국내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이 1.4㎏에 불과했다. 이후 2003년엔 7.8㎏로 늘어났다. 지난해 20년 만에 두 배가 된 셈이다.
닭고기를 가장 많이 먹는 시기는 역시나 '복날'이 낀 여름이다. 특히 7월은 도축 마릿수가 1억마리를 웃돌았다. 도축 마릿수가 가장 적은 2월과 비교하면 3천만마리 더 많다.
우리나라의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은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많은 편은 아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닭고기를 중심으로 한 가금류 1인당 소비량을 집계한 자료를 보면, 한국은 올해 소비 추정량이 17.6㎏으로 세계 평균(14.6㎏)보다 많았다. 하지만 1위인 미국(49.3㎏)이나 유럽연합(23.1㎏)에는 한참 못 미쳤다. 한국은 일본(13.4㎏)과 중국(14.1㎏)의 1인당 가금류 소비량보다도 적다. 인도는 2.2㎏에 불과하다. 아시아에서 닭고기를 가장 많이 먹는 나라는 말레이시아(1인당 가금류 소비량 47.4㎏)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이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