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나 불키나.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
 |
안토니오 폼파발디.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
 |
마르코스 마드리갈.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
 |
얀 프랜시스 팡.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
 |
와엘 파루크.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제공> |
대구시립교향악단이 올해 첫선을 보이는 '2024 대구국제피아노페스티벌'이 오는 22~23일 오후 7시30분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진행된다.
이틀간 진행되는 축제에서 다양한 국적의 세계적 연주자들이 대구를 찾아 다양한 피아노 협주곡을 들려준다. 한번 들으면 잊히지 않는 인상적인 선율,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의 아름다운 대화, 솔리스트의 현란한 기교 등으로 청중에게 꾸준히 사랑받는 대중적인 작품들로 구성했다.
첫날인 22일은 러시아 피아니스트이며 작곡가인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들로 꾸민다. 전반부는 러시아 피아니스트 안나 불키나가 그의 '피아노 협주곡 제1번'을, 2부에선 이탈리아 피아니스트 안토니오 폼파발디가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을 들려준다.
라흐마니노프 음악원을 졸업한 안나 불키나는 부소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 중국 국제 피아노 콩쿠르 등 권위 있는 콩쿠르의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독일 게반트하우스, 중국 국가대극원, 미국 케네디 센터 등에서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솔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안토니오 폼파발디는 미국 3대 국제 피아노 콩쿠르 중 클리블랜드 콩쿠르 우승, 반 클라이번 콩쿠르 은메달을 비롯해 프랑스 롱·티보 국제콩쿠르 우승 등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클리블랜드, 힐튼 헤드 등의 국제 피아노 콩쿠르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산호세 국제 피아노 콩쿠르 심사위원장이자 예술 고문이다. 현재 클리블랜드 음악원 피아노 학부 교수이며 학과장을 겸하고 있다.
23일 첫 무대는 피아니스트 마르코스 마드리갈이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로 연다. 피아노의 화려한 기교와 함께 오케스트라의 색채감까지 느낄 수 있는 곡이다. 마르코스 마드리갈은 쿠바 아바나에서 태어나 쿠바예술대학교(ISA)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고, 하엔 국제 피아노 콩쿠르 등에서 입상했다. 2017년부터 국제 클래식 음악제인 '아바나 클라시카'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두 번째 무대는 중국의 피아니스트 얀 프랜시스 팡이 선사하는 라벨의 '피아노 협주곡 G장조'이다. 스페인풍 민속 요소와 재즈 색채가 가미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곡이다. 얀 프랜시스 팡은 뉴잉글랜드 음악원 졸업 후 줄리아드 음악대학 석사, 맨해튼 음악학교 피아노 아티스트 디플로마를 취득했다. 쇼팽 탄생 200주년 기념 국제 피아노 콩쿠르 금메달, 치어 타이완 국제 음악 콩쿠르 우승 등을 차지했다.
피날레는 맨해튼 음악학교 교수로 재직 중인 이집트 출신 피아니스트 와엘 파루크가 그리그의 '피아노 협주곡'으로 장식한다. 그리그의 유일한 피아노 협주곡으로 노르웨이 민요풍의 청순한 선율, 신선한 화성, 절묘한 리듬 등 소재가 탁월하고, 생기발랄한 정열이 넘친다.
파루크는 획기적인 기획과 고전에서 낭만, 현대에 이르는 방대한 레퍼토리를 자랑한다. 그는 2021년 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제1번부터 제3번까지 하루에 공연하며 시카고 트리뷴에서 '새 역사를 쓴 콘서트'로 호평받았다. 카이로 음악원 졸업 후 미국 가톨릭대, 컨버스대, 맨해튼 음악학교, 시카고 공연예술대학, 러트거스대 등에서 석·박사를 받았다.
이번 페스티벌의 개막을 알리는 곡은 벨리니의 오페라 '노르마' 서곡이다. 힘차고 엄숙한 화음으로 시작해 섬세한 멜로디가 이어진다.
대구시향 백진현 상임지휘자는 "우리에게 가장 친근한 클래식 독주 악기인 '피아노'를 주인공으로 한 이틀간의 축제이다. 피아노 협주곡이 공연 일부가 아닌 전부인 무대로 꾸렸다. 세계 각국의 피아니스트가 펼치는 그들만의 개성 있는 연주와 해석으로 명 협주곡을 연이어 감상할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R석 3만원, S석 1만6천원, H석 1만원. (053)430-7765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