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금융권에서 연이어 대규모 횡령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지난 7년간 배임액도 1천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7년간 금융권에서 발생한 배임 금액은 1천13억8천만원으로 집계됐다. 배임을 저지른 임직원은 84명에 달했다.
연도별로 △2017년 26억2천550만원(5명) △2018년 171억 7천860만원(28명) △2019년 264억 980만원(6명) △2020년 16억8천120만원(27명) △2021년 217억9천640만원(6명) △2022년 209억5천만원 등이다.
배임 금액 기준으로는 은행업권이 426억 8천650만원(42.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보험업권 262억4천100만원(25.9%), 증권업권 215억6천910만원(21.3%), 카드업권 108억8천700만원 순이다.
배임을 한 임직원 수는 보험업권이 29명(34.5%)으로 가장 많았다. 증권업권이 28명(33.3%), 은행업권 24명(28.6%), 카드업권 3명(3.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환수액은 376억1천280만원으로 전체 배임액 대비 37.1% 수준에 그쳤다. 특히 카드업권의 배임액 환수율은 단 3.6%(환수액 3억8천700만원/배임액 108억8천700만원)에 그쳤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업권의 배임사고는 임직원의 준법의식 취약과 내부통제 체계의 실효성 미흡과 금융감독원의 관리·감독 소홀에 따른 것"이라며 "금융업권 횡령 및 배임과 관련해 전체 금융업권과 함께 CEO까지 책임을 묻는 강력한 내부통제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영기자 4to11@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