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천 청제비,수리비(왼쪽)와 청제 중립비.
1천500여년 전 신라인들이 물 관리와 재해 극복을 위해 건립한 영천 청제비가 국보로 승격된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일 1969년 보물로 지정된 '영천 청제비'를 약 56년만에 국보로 지정 예고했다.
영천 청제비는 청제건립·수리비와 청제중립비로 구성돼 있으며 비석 모두 앞·뒷면에 각각 글이 새겨져 있다.
이 비석은 신라시대에 건설된 '청못'이라 불리는 저수지 옆에 자리하고 있으며 받침돌 등이 없이 자연석에 글자를 새긴 형태를 갖추고 있다.
앞면에는 신라 법흥왕 23년(536년) 대규모 제방 공사의 준공 기록이 새겨져 있다. 당시 공사 규모와 동원 인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뒷면에는 원성왕 14년(798년) 4월에 제방 수리 공사에 관한 내용이 기록돼 있다.
청제중립비에는 두 동강이 나서 땅에 묻혀 있던 청제건립·수리비를 1688년에 다시 세운 기록이 담겨져 있다.
이 비석은 1688년(숙종 14년)에 청제를 수리하면서 세운 중립비(重立碑)이다.
이 비는 높이 107cm, 너비 77cm, 두께 15cm인 화강암 비석이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의 의견 수렴 기간을 거쳐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통해 국보 지정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은 “신라사에서 홍수와 가뭄이 가장 빈번했던 6C와 8C 후반∼9C에 자연재해 극복을 위해 국가에서 추진했던 토목 공사를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라며 “한 비석에 시대를 달리하는 비문이 함께 기록된 희귀한 사례로 그 가치가 크다"고 평가했다.

유시용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