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경선 열차가 정차역을 통과하는 모습. 영남일보 DB
지난해 12월 개통한 대구권 광역철도(대경선)의 지자체 운영손실금 규모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1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시는 최근 2024년도 대경선 운영손실 보전금 지급 요청을 관계 기관으로부터 받았다. 본격 운행을 시작한 지난해 12월 14일부터 31일까지 18일 동안 운영분에 대해 대구시가 지급해야 할 운영손실금은 1억3천300여만원에 달했다.
대구 외에도 대경선이 운행하는 구미·경산시, 칠곡군도 각각 운영손실금을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운영손실금 규모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2020년 말 유관기관 간 체결된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의 원활한 건설 및 운영을 위한 협약'에 따라 국가(공단)는 광역철도를 건설하고, 철도공사는 열차를 운행하며, 지자체는 차량 소유 및 운영손실금 등을 부담하는 것으로 기관별 역할이 정해졌다. 이에 따른 지자체의 첫 대경선 운영손실금 보전 규모가 이번에 파악된 것이다. 아직 연간 운영손실금 규모는 알 수 없다고 대구시는 전했다.
한편,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광역철도 운영비 부담에 있어 각 광역철도간, 수도권-비수도권간, 지역간 형평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구시 측은 "운영비에는 기본 동력비와 인건비, 유지 관리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난해 운영손실금의 경우, 개통 초반에 일회성으로 들어간 비용도 있을 것이다"라며 "대경선 운행을 올해 1년간 해봐야 정확한 운영손실금 규모가 나올 것 같다. 운영비 부분에 대해선 추가 검토될 가능성이 있지만, 대경선 개통으로 인한 지역민 편의성 증대 효과가 큰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