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 추진단 출범 현판식이 지난달 4일 구미시 신평동 스마트커넥트 센터에서 열렸다.<영남일보 DB> |
국토교통부 수도권 정비 실무위원회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단지에 비수도권 기업 입주 허용(영남일보 11월 6·10일 자 1면·9일 자 10면 보도)에 대해 경북이 크게 반발하자, 산업통상자원부는 "구미에 피해가 없을 것"이라고 입장을 내놓았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이번 사안이 용인 클러스터에 입주하는 SK하이닉스 관련 기업에 대한 조치로 보고 있지만, 장기적으론 구미를 비롯한 비수도권 반도체 기업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구미을)은 지난 20일 국회에서 열린 첨단전략산업특별위원회에서 "국가 산업경쟁력 강화와 균형 발전을 위해 지정한 첨단산업 특화단지가 여전히 수도권 위주로 지원이 이뤄지고 (수도권 정비 실무위원회 의결로) 규제가 풀리는 것도 지방이 우려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규제 부분과 관련해 구미시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답했다.
하지만, 구미시는 비수도권 기업의 수도권 진입 빗장이 풀린 만큼, 향후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구미시 관계자는 "비수도권 기업의 수도권 입주를 허용한 이상 구미도 안전지대가 아니다"며 "단기적으로 급한 불은 껐다해도 지방 기업이 수도권에 공장 증설 길을 열어 준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지방에 소재한 반도체 소재·부품 기업이 다음 유치 공략 대상이 될 것으로 우려했다.
구미 시민단체와 경제계는 20년 전 수도권 규제 완화로 LG LCD 공장을 파주에 빼앗긴 아픈 기억을 다시 떠올리며 "지방시대에 역행하는 처사"라고 반발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 의도와는 달리 첨단산업 특화단지 지정이 세계 무대는커녕 수도권의 지방 기업 빼앗기로 치달을 수 있다는 것이다.
구미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교통망, 교육, 주거 등 인프라에서 지방은 수도권과 공정한 경쟁이 될 수 없다"며 "정부는 지방시대에 발맞춰 지방에 힘을 더 실어주어야 한다"고 했다.
박용기기자 ygpark@yeongnam.com

박용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