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미시와 구미시의회, 구미교육지원청, 지역대학, 고등학교, 지역 기업, 단체 등 15개 기관이 1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
"회사가 지난해부터 많은 직원을 채용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80% 이상을 구미 외에 있는 지역 인원을 뽑고 있습니다. 구미에 있는 인원을 뽑으면 좋지만, 현실적으로 그렇게 되기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지난해 60명을 채용했는데 70% 이상이 대구, 경북 외 지역 대학 졸업생입니다. 지역에서 더욱더 경쟁력 있는 인력 양성과 정주 여건 개선이 필요합니다."
지난 18일 구미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교육 발전 특구 시범지역 지정 공동 대응 업무 협약식에 참석한 구미지역 기업들은 지역 인재를 많이 채용해 달라는 주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날 업무 협약식에 참석한 기업 대표는 반도체, 방위산업 관련 기업으로 첨단 반도체 특화단지와 방산 혁신클러스터로 지정된 구미의 미래 산업과도 직결돼 큰 우려를 낳았다,
이날 구미시와 구미시의회, 구미교육지원청, 지역대학, 고등학교, 지역기업, 단체 등 15개 기관은 정부의 교육 발전 특구 시범지역 지정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교육 발전 특구는 지역의 교육 주체 간 협력을 통해 지방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게 지역교육을 혁신하고 인재 양성에서부터 지역 정주까지 지속 가능한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시에 따르면 교육 발전 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3년간 최대 30억 원에서 100억 원의 특별교부금과 지역 맞춤형 특례 지원을 받는다. 공모 신청은 오는 2월 9일까지로, 3월 초 결과가 발표된다.
구미시는 △지역 기업이 교육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공적 경로' 마련으로 지방 중심의 협력체제 강화 △지자체-교육청-대학-기업 간 체계적인 협업시스템 운영 및 교육자치 확대 △지역 특성을 살린 '교육브랜드 개발'로 구미시민의 주거 만족도 제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구미시 관계자는 "공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 교육역량을 높이고, 유아에서부터 초·중·고, 대학까지 지방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 발전 특구 시범지역 지정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희 구미교육지원청 교육장은 "모든 학생이 자신의 역량과 잠재성을 발휘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고, 학생·학부모·교사 모두가 행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글·사진=박용기기자 ygpark@yeongnam.com

박용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