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적자 늪에 빠진 공공문화시설…수익모델 다각화해야

  • 논설실
  • |
  • 입력 2020-08-14   |  발행일 2020-08-14 제23면   |  수정 2020-08-14

대구지역 대형 공공문화시설들이 적자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50억 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공공시설 21곳 중 대구오페라하우스,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미술관, 대구콘서트하우스 등 4곳이 이름을 올렸다. 적자 규모가 오페라하우스 연평균 73억여 원, 문화예술회관 68억여 원, 미술관 64억여 원, 콘서트하우스 53억여 원이다. 공공시설의 적자 누적은 지자체의 재정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가뜩이나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가 공공시설 운영적자까지 감당해야 한다. 시설 건립비는 국비 등 외부지원을 받지만 운영비는 지자체 몫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시민의 문화 향유를 위해 지은 시설을 없애지도 못한다.

공공문화시설이 시민복지 차원에서 운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익 극대화만을 요구할 수는 없다. 수익을 내기 위해 적정요금을 부과할 수 있지만 영리기관이 아닌 공공기관이다 보니 공연·전시 입장료를 저렴하게 책정한다. 오페라하우스는 입장료가 최고 10만 원이다. 민간기획사에서 20만~30만 원에 입장권을 판매한 오페라도 10만 원이면 볼 수 있다. 미술관도 마찬가지다. 일반적으로 해외 유명작가의 전시 입장료는 1만 원이 넘는데 미술관에서 하면 몇천 원 수준이다. 상임예술단을 운영하는 문화예술회관과 콘서트하우스는 이로 인한 적자가 불가피하다.

올해 코로나19 사태까지 덮쳐 공공문화시설의 적자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대구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이들 시설의 운영은 완전정지됐다. 대관, 공연·전시의 수익은 감소했지만 무관중 형태의 온라인 공연·전시 등으로 지출은 크게 줄지 않았다. 최근 공연·전시가 재개됐으나 입장 인원을 제한해 입장료 수익은 보잘것없다.

하지만 공공문화시설이 세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운영 주체의 적자 개선 노력은 뒷받침돼야 한다. 공공문화시설은 우선 지역민이 자주 찾는 곳이 돼야 한다. 양질의 콘텐츠와 서비스로 관객을 늘려야 한다. 경영 개선을 위한 사업모델 개발, 협찬사 발굴 등 수익 모델을 다각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시민 혈세가 낭비되는 것은 최소한 막아야 한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