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호성의 사주 사랑(舍廊)]- 나약한 아이에겐 무술을 가르쳐라

  • 우호성 명리가 소설가
  • |
  • 입력 2021-06-19 20:25  |  수정 2021-06-19 20:26
20210108001801426_1.jpg
‘서울 마포구 오피스텔 살인 사건'으로 신문과 방송이 시끄럽다. 이 사건은 20대 남성이 친구 두 명에 의해 오피스텔에 감금된 상태에서 그들로부터 노동을 강요받고 폭행을 당하여 나체로 숨진 채 발견된 범죄다. 이 뉴스를 접하면서 필자는 이 피해 남성도 신태약(身太弱) 사주의 주인이겠구나 하고 한숨을 쉬었다.

신태약 사주는 주체가 냐약한 사주다. 내가 내 사주(인생)의 주인공이 되지 못한다. 나의 의지대로 살아가지 못한다. 독립적인 삶, 주체적인 삶능동적인 삶을 살지 못한다. 홀로서기를 못하니 의존적이고 의타적이고 수동적이다. 누군가에게 기대고 의지하고 살아간다. 나쁜 사람한테 걸리면 그의 똘마니, 하수인, 종, 노예가 된다.

신태약 사주에는 4개의 유형이 있다. 첫째 나의 세력은 미미한데 관성(官星)의 세력이 막강한 경우다. 관성이란 나를 통제하는 코드인데 이게 나보다 강력하면 나는 입도 뻥긋 못하고 죽지도 못 편다. 가령 土일생으로서 나의 세력은 1로서 미약한데 목극토(木剋土)의 이치로 나(土)를 제극(制剋)하는 관성인 木이 4개이면 그렇다. 그림1.
표1.jpg
둘째 나의 세력은 미미한데 식상(食傷)의 세력이 막강한 경우다. 식상이란 나의 세력을 빼앗는 코드인데 이게 나보다 강력하면 나는 힘이 빠지고 기운이 쇠잔하여 나약한 사람이 된다. 가령 土일생으로서 나의 세력은 1로서 미약한데 금설토(金洩土)의 이치로 나(土)의 힘을 빼는 식상인 金이 4개이면 그렇다. 그림2.
표2.jpg
셋째 나의 세력은 미미한데 재성(財星)의 세력이 막강한 경우다. 재성이란 내가 이겨먹어야 하는 코드인데 이게 나보다 강력하면 나는 힘에 부쳐 오히려 재성한테 역공을 당한다. 그래서 나는 나약한 사람이 된다. 가령 土일생으로서 나의 세력은 1로서 미약한데 토금수(土金水)의 이치로 내(土)가 제압해야 하는 水가 4개이면 그렇다. 그림3.
표3.jpg

넷째 나의 세력은 미미한데 인성(印星)의 세력이 막강한 경우다. 인성이란 나를 도와주는 코드인데 이게 나보다 과도하게 많으면 나는 인성에 파묻혀 오히려 나약해진다. 과잉보호하면 아이가 자립을 못하는 경우와 같다. 가령 土일생으로서 나의 세력은 1로서 미약한데 화생토(火生土)의 이치로 나(土)를 도와주는 火가 4개이면 그렇다. 그림4.

표4.jpg

그럼, 이렇게 신태약한 사람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먼저 부모가 아이를 어릴 적부터 잘 보살펴야 한다. 아이에게 자신감과 자존감을 불어넣어 줘야 한다. “넌 할 수 있어”. “넌 강해질 거야.” 응원과 격려로 용기와 힘을 불어넣어 줘야 한다. 아이가 걸핏하면 운다고 나무라고, 용기가 없다고 핀잔을 줘서 아이의 기를 죽이면 안 된다. 아이의 기를 살려줘야 한다. 아이가 자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무엇보다 “아니야.” “싫어.”라고 말하는 용기를 길러줘야 한다. 그런 다음 아이가 홀로서기를 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그리고 아이가 초등학교 상급생쯤 되면 자기 자신을 스스로 지킬 수 있는 힘을 길러줘야 한다. 무술을 배우도록 하면 좋겠다. 시인 이상화가 일제강점기에 교남학교(지금의 대륜중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할 당시 주창한 교육관이 있다. “피압박 민족은 주먹이라도 굵어야 한다.” 그래서 교남학교 학생들은 권투, 럭비 등의 운동을 배워 체력을 키웠다. 이와 마찬가지로 신태약 사주의 아이는 호신술 하나쯤은 배워두는 게 현명하다. 그래야만 나쁜 사람한테 얻어터지지 않고, 목숨을 뺏기지 않고, 자립자강의 삶을 영위할 수 있다.

 

■우호성<△언론인(전 경향신문 영남본부장)△소설가△명리가(아이러브사주www.ilovesajoo.com 운영. 사주칼럼집 ‘명리로 풀다’출간)△전화: 010-3805-1231>  

기자 이미지

우호성 명리가 소설가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동정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