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남기 경제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기재부 제공.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4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전년 동월비 4.8%로 2008년 10월(4.8%)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사실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열린 문재인 정부 마지막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당분간 물가 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통계청은 이날 "4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대비 4.8% 상승하며, 전월(4.1%)에 이어 두 달 연속 4%대 상승률을 기록했다"라고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농축수산물(1.9%)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나, 원유를 포함한 석유류가 3월 31.2% 상승에 이어 4월에도 34.4% 크게 올랐다. 가공식품(7.2%)·외식(6.6%) 등도 오름세를 유지했다.
홍 부총리는 물가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주요 선진국 물가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영향 등으로 유례없이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며 "이를 반영해 최근 IMF(국제통화기금)가 주요국 연간 물가전망을 상향조정하는 등 당분간 물가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홍 부총리는 "유류세 30% 인하분 가격 반영과 주요 원자재·곡물 등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등을 속도감 있게 이행하는 등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할당관세 인하도 검토하고 있다. 홍 부총리는 "원자재 수급부담 완화를 위해 납사 조정관세 인하와 고부가 철강제품 페로크롬 할당관세 인하도 검토 중"이라며 "이런 조치로 향후 체감 유류비용이 조금이나마 줄어들고 국내 제조업·식품업계의 원가상승 부담이 다소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서민 생활물가 안정은 어느 현안보다도 중요하고 시급한 사안으로 현 경제팀은 물러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물가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다짐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