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바이든, 21일 정상회담 '북핵대응·경제안보·역내협력' 다뤄질 듯

  • 정재훈
  • |
  • 입력 2022-05-18   |  발행일 2022-05-19 제6면   |  수정 2022-05-18 18:01
尹·바이든, 21일 정상회담 북핵대응·경제안보·역내협력 다뤄질 듯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이 18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오픈라운지에서 한미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오후 약 90분간 한미정상회담을 진행한다.


북핵 대응과 경제 안보, 역내 협력 등이 핵심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회견 직후 발표될 공동선언문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린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통해 구체적인 일정과 내용 등을 설명했다.

김 차장은 "바이든 대통령은 20일 늦은 오후에 도착해 22일 이른 오후에 떠나는 2박 3일 일정으로 방한한다"며 "양국 정상이 적어도 하루 한 번씩은 함께 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차별화된 일정과 메시지를 소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바이든 대통령은 방문 첫날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방문할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대통령의 동행 여부에 대해 김 차장은 "아직 일정과 시간 등 정확한 정보는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행사가 개최될 경우 동행해 연설도 하고, 근로자와 환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방한 이틀째인 21일에는 서울 동작동 현충원과 용산 대통령실 정상회담 및 공동 기자회견, 이후 공식 만찬까지 예정되어 있다. 윤석열 정부 첫 한미정상회담에서는 북핵 대응, 경제 안보, 역내 협력 등이 '3대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첫 번째 의제는 북핵 대응을 위한 한미 공조 방안이다. 북한의 7차 핵실험 징후가 뚜렷하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도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양국 정상은 강력한 대북 억지력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 안보도 핵심 의제로 우리 정부 측은 반도체, 배터리 등 원천기술의 연구·개발에 있어 미국과 상호보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 글로벌 중추국가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을 세우고 있다. 반도체뿐 아니라 첨단 배터리, 친환경 녹색기술, 인공지능(AI), 양자 기술 등의 협력 방안도 의제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 차장은 "군사 동맹을 한미FTA(자유무역협정)를 통해 경제 동맹으로 확산했고, 이번에는 한미 기술동맹이 추가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인도·태평양 지역의 역내 협력과 글로벌 이슈도 논의될 전망이다. 윤 대통령은 우선 미국 주도로 출범을 준비 중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유리한 경제 안보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역대 미국 대통령 방한 시 꼭 방문했던 비무장지대(DMZ)는 방문하지 않는다. 김 차장은 "다른 장소에서 다른 개념을 갖고 안보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기간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주말까지 핵실험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면서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준비는 임박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통령실 측은 바이든 방한 기간 북한의 도발이 현실화하면 플랜B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