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7일 서울 노보텔앰배서더호텔에서 '원자력 청정 수소 비즈니스 포럼'이 열린 가운데 양정숙(왼쪽에서 일곱 번째부터) 국회의원, 정재훈 한수원 사장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수원 제공> |
![]() |
27일 서울 노보텔앰배서더호텔에서 원자력 청정 수소 비즈니스 포럼이 열린 가운데 나기용(왼쪽부터) 두산에너빌리티 부사장, 남석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회장,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부사장,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 정재훈 한수원 사장, 김성암 한국전력기술 사장, 김종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 정동욱 한국원자력학회장이 '수소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은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수원 제공> |
원자력을 활용한 청정 수소 생산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원자력 청정 수소 비즈니스 포럼’이 27일 서울 노보텔앰배서더호텔에서 열렸다.
포럼은 한국원자력산업협회가 주관하고 한국수력원자력·한국전력기술·두산에너빌리티가 후원한 가운데 양정숙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원자력과 수소 산업계·학계·연구계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원자력 청정 수소의 역할과 비전, 국내외 청정 수소 생산과 기술 개발 동향, 한수원의 청정 수소 기술개발 추진 계획, 청정 수소 경제성과 상용화를 위한 과제, 법·제도적 해결 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 ‘대용량 청정 수소 생산·저장 플랜트 설계와 인허가 대비 기반 연구’ 과제와 관련해 원자력 청정 수소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업무협약은 한수원은 한국전력기술·두산에너빌리티·포스코홀딩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수소융합얼라이언스·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한국원자력학회가 참여했다.
이들 기관은 업무협약으로 △원자력을 활용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 개발과 상용화 △원전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원자력 청정 수소 사업모델 개발 △지속 가능한 원자력·수소 산업 생태계 구축 등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한수원은 협약을 통해 신재생과 원자력이 공존하는 청정 수소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달성해 탄소 중립과 수소 경제 실현에 이바지할 방침이다.
원자력 청정 수소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전기와 증기를 이용해 수전해 방식으로 생산된 수소를 말한다.
원전은 태양광·풍력 등의 발전보다 전력 판매 단가가 낮고, 가동률이 높아 경쟁력 있는 수소 생산 방식으로 검토되고 있다.
미국은 에너지부(DOE)의 지원으로 원자력발전소 내 수소생산 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프랑스는 국영전력회사(EDF) 주도로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청정 수소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정재훈 한국원자력산업협회장(한수원 사장)은 “우리가 보유한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산·학·연·관이 협력해 원자력을 활용한 청정 수소 개발로 에너지 안보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원전 수출과 청정 수소 플랜트 사업 모델이 해외 원전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상품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라고 밝혔다.
송종욱기자 sjw@yeongnam.com

송종욱
경주 담당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